d라이브러리
"응고"(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음식의 화룡점정, 소스 분산액&유화액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단백질이 열에 응고하면서 소스가 걸쭉해집니다. 이때 레몬즙을 추가하면 산이 단백질의 응고를 촉진해 소스가 한층 더 걸쭉해집니다.파스타에 넣는 화이트소스 역시 유화액입니다. 화이트소스는 같은 양의 밀가루와 버터를 볶다가(루) 우유를 넣고 저으면서 끓이면 됩니다. 루에 든 버터가 우유(물 ... ...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단백질이 간수(바닷물에서 소금을 채취하고 남은 짠물로, 염도는 약 20%)를 만나 고체로 응고하지요. 약 100도에서 5~10분간 끓인 콩물에 간수를 조금씩 넣으면서 저어주면, 몽글몽글 하얀 두부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간수가 없으면 염화마그네슘(MgCl2)을 4배의 물로 희석해서 넣어줘도 됩니다. 저도 ...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던 것과 전혀 다른 사실을 밝혀낸 미국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혈액을 응고시키는 세포인 혈소판이 대부분 폐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doi:10.1038/nature21706 황 교수는 “중금속이 폐에 쌓이면 혈소판의 생성과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뜻”이라며 “혈소판에 이상이 생기면 ...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쓰인다. 그런데 프로스타글란딘은 통증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위벽을 보호하고, 혈액을 응고하고, 소변량을 유지하는 기능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엔세이드 계열의 진통제를 먹으면 이 모든 기능에 약간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즉, 속이 쓰리거나 위 점막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투여량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혈관을 따라 이동하며 몸 곳곳에 산소를 운반해요. 또 혈소판은 상처가 났을 때 혈액을 응고시키지요. 이처럼 혈구마다 역할은 제각각이지만, 모두 같은 곳에서 만들어져요. 그곳은 바로 뼈 안쪽에 있는 ‘골수’라는 조직이랍니다. 골수는 딱딱한 뼈의 겉면과 달리, 부드럽고 유연한 조직이에요.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푸틴’을 드셔보시기 바랍니다. 감자를 껍질째 썰어 튀기고 그 위에 그레이비 소스와 응고된 치즈를 얹어 먹는 음식인데, 어마어마한 열량만큼 큰 힘을 내줍니다. 1950년대 퀘백 주에서 먹던 푸틴이 원조이지만 현재는 캐나다 어디서나 식당에 가면 쉽게 먹을 수 있습니다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모세혈관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한다. 서 연구원은 “혈류가 느린 모세혈관에서는 혈액이 응고해 혈전이 생기기 쉽다”면서 “다행히 사구체의 혈관 주변에 있는 다리세포(podocyte)가 혈전을 방지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를 분비한다”고 설명했다. 단단해지는 데 모세혈관이 필수성장기에는 뼈의 ... ...
- [Future] ‘녹조라떼’로 만든 신발이 있다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완전히 바꿨다. 조류 자체를 원료로 사용한 것이다.하천에서 물을 끌어올린 뒤, 화학 응고제를 풀어 넣으면 하천에 사는 조류가 한 덩어리(플록)로 뭉쳐진다. 여기에 공기를 주입하면 물 표면으로 플록들이 올라오고 이를 분리한다. 태양열로 플록을 바짝 말려, 신발의 재료로 사용하고, 깨끗해진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액 성분과 결합하지 못했고, 응고된 정액이 다시 액화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정자가 응고된 정액을 탈출하지 못해 피임에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오랜드 대표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독성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사람에게서 피임의 효과를 확인한 뒤 남성 피임약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겁니다. 엄마의 혈압을 태아의 혈관이 견디지 못할 뿐만 아니라, 둘의 혈액이 섞여 응고될 경우 엄마와 태아 모두가 위험에 빠지게 됩니다.다만 가끔은 태아의 세포가 엄마의 몸에서, 또는 엄마의 세포가 태아에게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임신 20주 여성들의 혈액 속 DNA는 20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