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결
경화
동결
불휘발성화
d라이브러리
"
응고
"(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응고
하면서 단단해지기 시작해요. 살에 탄력이 생기지요. 약 70℃에서는 액틴마저
응고
하면서 살이 단단하고 질겨진답니다. 반대로 결합조직은 가열하면 점점 약해지고 오그라들어요. 약 40℃부터 약해져 육즙이 바깥으로 빠져 나가기 시작하지요. 약 60℃에서는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변해 살이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크림을 얼마나 발라야 할지 그 두께를 계산하는 공식도 알려 주었다. 만약 생크림이라면
응고
된 크림보다 푹신하기 때문에 1.5배 더 두껍게 발라야 한다.크림티 스콘 방정식에 따르면, 스콘과 잼의 가장 맛있는 두께는 스콘의 반지름에 좌우된다. 그럼 수학자가 제안하는 맛있는 스콘의 비밀을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가슴 근육에서 먼저 단백질
응고
가 일어나기 시작하고, 이후에 다리 근육 단백질이
응고
된다. 이 때문에 칠면조를 너무 오래 조리하면 날개와 가슴 부위는 식감이 퍽퍽해진다. 반면 상대적으로 지방 함량이 많은 다리 근육은 불로 조리하는 시간이 짧으면 질겨서 먹기 힘들다. 전통적인 레시피에서는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따라 자라는 씀바귀가 두통에 효과가 있다 하여 약으로 썼다. 그러나 두통약은 항
응고
제로 혈액을 굳지 못하게 만든다. 그러면 혈관이 확장돼 뇌졸중이나 동맥류를 일으킬 수 있다. 해녀를 목숨을 잃기 쉬운 위험한 직업으로 만드는 가장 흔한 이유가 바로 이 증상이다.잠수병 역시 흔하다. 앞서 ... ...
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장기 복용하면 인슐린 수치를 높여 당뇨병 발병을 증가시킨다. 프로게스테론은 혈액
응고
작용이 있어 심장발작, 뇌졸중, 폐 및 혈관 전색 등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농도 지단백(LDL)은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농도지단백(HDL)을 떨어뜨린다. 심장병에 ... ...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1970년대부터 활발히 진행됐다. 이 독에는 혈전과 혈소판이 생기는 것을 막고 혈액의
응고
를 막으며 섬유소원을 분해하는 효소가 많다. 이 때문에 이 효소들은 혈전과 혈소판으로 막힌 혈관을 치료하는 약으로, 혈장섬유소원으로 뇌의 모세혈관이 막혀 생기는 급성뇌일혈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봄에 해동될 때 손상되지 않을까요? 숲개구리의 혈관벽에는 피브리노겐이라는 혈액
응고
를 촉진하는 단백질이 고농도로 존재합니다. 해동과정에서 혈관이 손상되면 이 단백질이 즉시 내벽을 격자처럼 감싸서 피가 새지 않게 해 혈관의 추가적인 파열을 막아준다고 합니다.발생학 연구에 큰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모스’라고 하는 홍조류에 뜨거운 물을 부어 얻는 물질이에요. 칼슘과 만나면
응고
하는 성질이 있지요. 또 수분을 잘 유지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물처럼 흐물흐물해지거나 딱딱하게 굳지 않아요. 오미자동그랑땡이 시간이 지나도 촉촉하게 원래 형태를 유지하는 이유랍니다.오미자는 ... ...
사람도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뿌옇고 혼탁해져 각막의 기능을 상실한다. 다음은 심장판막과 혈관이다. 혈액이
응고
되면서 조직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채취한 조직은 냉동 보관한다. 부위에 따라 보관온도가 다르다. 뼈와 인대, 힘줄은 비교적 강도가 세고 물성의 변화가 적어 영하 40~70℃에서 보관한다. 반면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다른 영역들이 상변이를 겪을 때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된다. 이는 마치 액체가
응고
될 때 결정 알갱이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나 물이 얼음으로 변할때 형성되는 갈라진 틈과 비슷하다. 아주 무한히 긴 두 개의 우주끈이 서로 아주 빠르게 움직인다면 그 주위에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영역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