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스페셜
"
조금
"(으)로 총 1,29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스트레스도 무조건 나쁜 것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아이들이
조금
이라도 어려워 하는 등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으면 아이가 도전해보기도 전에 불편한 자극을 없애는데 급급한 양육자들이 적지 않다는 스지적이 나오고 있다. 세상 모든 스트레스로부터 지켜주고 싶은 것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모습은 절망적이다. 과학자를 ‘떼도둑’(카르텔)으로 매도했던 작년 여름의 상황과
조금
도 다르지 않다. 자칫 젊은 전공의와 의대생을 범죄자로 만들어 버리면 그 결과는 돌이킬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을 걱정해야 한다. 어설픈 ‘여론조사’를 믿고 의료 대란을 서둘러 해결하지 못하면 총선에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고마워해라’ 모드가 되는 것이 보통인데 그렇지 않은 친구가
조금
신기하기도 했다. 자발적으로 타인을 위하는 행동을 하고서도 되돌려 받길 기대하고 그게 안 될 경우 금방 서운해하고 후회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비교적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다. 이 차이는 뭘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수밖에 없다. 본격적인 도시화가 시작된 1969년부터 굳어져 버린 관행이다. 제설제 살포가
조금
만 늦어지면 아파트 관리실과 시청·구청에 민원이 쏟아진다. 평소 극심한 화학물질 혐오증을 호소하던 주민들도 제설제는 마다할 수 없는 형편이다. 뾰족한 다른 대안이 없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알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은 진전 안되고 피곤하다면
2024.01.27
있다. 프란체스코 시릴로라는 사람이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연구들에 의해서도
조금
씩 주목받고 있는 시간 관리법이다. 일하는 시간을 30분 단위로 쪼개서 25분 동안 핸드폰이나 인터넷 등과 멀어져 일에만 집중하고 5분을 쉬는 식으로 4번을 반복하는 기법이다. 네 번을 채우고 나면 15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조사하는 과정에서 CRAB에 효과가 있는 분자를 발견했다. 이를 출발 물질로 삼아 구조를
조금
씩 바꿔가며 효과는 커지고 동시에 용해도 등 물성이 개선된 분자들을 만들었고 최종적으로 선정된 분자를 조수라발핀(zosurabalpin)으로 명명했다. 조수라발핀은 특이하게도 아시네토박터에만 효과가 있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자신이 나눠준 금액을 실제보다 크게 부풀려서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기적일수록
조금
나누고서도 실제보다 많이 나눈 것으로 왜곡해서 기억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일정 금액의 돈을 주고 파트너와 얼마씩 나눠야 공평할 것 같냐고 물었다. 그러고 나서 역시 다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가족, 연인 사이의 관계 모두 우리는 서로 다른 관계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들이
조금
씩 다르다. 친구와는 한 없는 끈끈함을 원하지만 직장에서는 어디까지나 함께 일하는 남이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있고 대체로 모든 관계에서 막역한 관계를 원하는 사람이 있다. 반면 연인이나 가족 사이에서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판받으며 자란 아이, 자기 비난 키운다
2023.11.11
많이 서툴다고, 최선을 다하겠지만 여전히 완벽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인정했더라면
조금
은 자신들의 실수에 덜 당황하고 미안하다고 할 줄 아는 양육자가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인간은 누구나 나름의 부족함과 한계를 안고 살아간다. 어른이든 아이든 세상에 완벽한 인간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사고가 팽배한 르네상스 재건술과 미용수술 모두 여명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조금
씩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피부 이식술에 대한 개념이 보편화하고 구순열과 구개열을 치료할 가능성도 커져가고 있었다. 1460년에 폴스포인트(Heinrich von Pfolspeundt)는 팔의 뒷부분에서 피부를 잘라 내어 코 부위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