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랙
경주장
경마장
d라이브러리
"
주로
"(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적 내가 살기에 남을 죽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다양한 종류가 있다. 맵시벌과(Ichneumonidae)의 기생벌은 비교적 대형의 종류가 많은데,
주로
나비목과 딱정벌레목의 유충과 번데기에 기생한다. 배추벌레사리납작맵시벌(Itoplectis naranyae)은 배추흰나비의 유충에 기생하여 번데기에서 우화탈출하는가 하면, 황다리납작맵시벌(Ephialtes capulifera)은 ... ...
주변기기 선택요령① 프린터의 구입과 활용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9핀 프린터도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업무용이나 워드프로세서를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18핀이나 24핀 프린터를 사용하는 편이 유리할 것이다.용지의 크기는 프린터가 한 줄에 인쇄할 수 있는 최다의 글자수로 나타내는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개 영문 기준으로 80자 또는 ... ...
'민중의 윤리의식을 고취하는 정보화사회'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말한 '산업화 후의 사회'란 유형의 재물을
주로
생산하는 사회에서 무형의 지식 정보를
주로
생산하는 사회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정보'를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라고 넓게 해석한다면 정보의 범람은 가치관의 다극화를 초래한다. 거대한 공장에서 규격화된 물건을 생산하듯이 ... ...
돌비IC 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내장되어 녹음 및 재생시에 발생하는 잡음을 최소화시키는 신호처리IC로
주로
고급카세트 뮤직센터 카스테레오 하이파이테크 등에 이용된다. 삼성전자는 이 기술의 개발로 잡음감소기술을 보유하게 됐고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음향기기용 돌비IC를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삼성은 ... ...
공간을 넘어 우
주로
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그것 때문에 여행자는 그가 떠나왔던 것과는 다른 또하나의 우
주로
변화되어 여행을 마치게 된다는 것이다.물리학자들은 이런 방법에 놀라지는 않았지만 그들도 그러한 방법들을 본질적으로 개선할 수 없다. 그렇지만 하나의 가능성 있는 방법은 있다. "심지어 웜홀이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7도, 배율은 8배, 중량은 21㎏이다.또 25mm 3단 이미지관을 사용하는 야간 감시장비는
주로
무반동포에 장착한다. 이 장비는 배율이 5.7배나 되고 조리개는 50m부터 무한대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시계는 6도이고 전원은 6.75볼트 수은배터리 또는 재충전이 가능한 6.75볼트 니켈·카드뮴 배터리를 사용한다. ... ...
PART3 성교육, 어디까지 다뤄야 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만큼…성인에서의 성교육의 주경로는 여러 종류의 대중 매체들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대중잡지나 도색물들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이같은 성지식의 획득은 득보다는 해가 많다. 과거에는 의학서적 백과사전 결혼입문서 성교본 교리문답 교서 기도서 등에도 해로운 오보가 많아 성적 편견을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수단에서 서식한 검정코뿔소를 관찰, 그들의 생활상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검정코뿔소는
주로
서부와 남부 아프리카의 사바나지대나 깊은 숲속에서 살지만 서부의 열대우림지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아프리카의 원주민들은 코뿔소 고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따라서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강우량의 측정법은 대체로 땅 속에 스며든 빗물의 깊이를 자로 재는 방법이었다. 이것은
주로
봄에서 초여름의 농사철에 행해졌다.그러나 땅이 말랐느냐 젖었느냐에 따라 빗물이 스며드는 깊이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이 방법은 불완전한 것이었다. 설상가상으로 세종 23년 봄에는 오랜 가뭄과 큰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화학·생물 선택학생이 많아요. 그런데 공부를 썩 잘 하는 학생은 물리·화학을
주로
선택하는 게 특징이에요.박-문과 학생들중 지난해 물리를 선택한 학생을 7천여명에 불과해요. 게다가 문제의 난이도가 무척 떨어져요. 과학의 기본이 되는 물리가 이처럼 '절름발이' 신세이니, 문제예요. 최소한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