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아구스 II(Argus II)’라는 이름의 이 인공눈 시스템은 아주
작은
60개의 전극을 가진 마이크로칩을 환자 20명의 망막에 이식했다. 이식수술을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미세하게나마 형태를 구분할 수 있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독일의 벤처인 레티나 임플란트에서는 1500개 ... ...
알 대신 올챙이 낳는 개구리, 보셨쎄요?
2015.01.06
우림 지역에서 신종 파충류와 양서류를 찾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어느날 연구팀은
작은
연못에서 자신의 새끼인 올챙이를 지키고 있는 신종 수컷 개구리를 발견했다. 추가 연구 결과, 이 개구리는 체내수정을 통해 암컷의 몸속에 수정란을 만든 뒤 알 대신 올챙이를 출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깔끔하게 네 가지 기본힘을 통합할 수 있는 유일한 이론이지만 점이 아니라 아주
작은
끈의 형태인 입자들이 11차원에 존재한다는 전제부터가 현재로서는 검증할 방법이 없다는 것. 끈이론은 우리가 경험하는 물리세계인 4차원(3차원 공간과 시간)을 뺀 7차원이 돌돌 말려 숨어있다고 해석하는데 ... ...
과학기술위성 3호 우주파편과 1km 차이로 ‘세이프’
2015.01.04
대기가 없는 우주 공간에서 초속 7~11km의 속도로 날아다니는 파편들은 크기가 10cm 정도로
작은
편이라도 위성 하나를 충분히 파괴할 수 있을 정도의 지니고 있다. 궤도를 바꾸기 위한 궤도조정용 추력기가 없는 과학기술위성 3호는 자세제어용 추력기를 이용해 충돌위험을 최소화했다. 표면적이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이룬다. 정상파는 특별한 값의 파장만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가장
작은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줄어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국 전자가 원자핵에 들러붙지 않고 그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전자가 정상파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물리학자 드 브로이는 이 사실을 알아낸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 ...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
2014.12.26
최초로 촬영한 혜성 표면부터 남극에 보존된 티끌보다
작은
우주먼지까지.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과학 발전의 문턱을 또 한 번 넘어서며 올해 과학계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10대 사진을 선정해 24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1위는 명실상부하게 올해 최고의 성과로 꼽히는 유럽우주국(ESA)의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단양군과 경북 영주시 사이에 있는 소백산은 겨울철이면 하얀 눈을 머리에 이고 있어
작은
백산이라는 뜻의 이름을 갖고 있는데요. 서해상에서 만들어진 눈까지 불어오면 환상적인 상고대 절경을 만들어냅니다. 전북 무주군에 위치한 덕유산은 겨울이면 습한 대기가 큰 산을 넘으면서 눈이 많이 ... ...
로제타가 보내온 화석의 정체, ‘집적 장벽’ 딜레마 해결할까?
동아닷컴
l
2014.12.24
때 별 주변을 원반 모양으로 돌고 있는 먼지구름. 집적 장벽이란
작은
먼지 조각들이
작은
덩어리로 서로 뭉치다 1cm 등의 일정 비율로 커지면 고속의 충돌이 발생해 덩어리로 나아가지 못하고 알갱이들로 분해되고 마는 성질을 말한다. 우리 과학의 수준은 cm 크기의 알갱이들이 어떻게해서 집적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였다. 프리드먼 교수는 ob유전자가 아미노산 167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단백질, 즉 식욕억제호르몬을 렙틴(leptin)이라고 명명했다. 물론 db유전자 역시 콜맨의 예상대로 렙틴 수용체를 암호화했다. 흥미롭게도 렙틴은 주로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플라스틱 렌즈가 미세하게 부풀어 올랐다. 맨눈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수준의 아주
작은
변화였다. 그 순간 렌즈 밑에 있던 흐릿한 알파벳이 또렷하게 드러났다. 렌즈의 곡률이 변하면서 도수가 달라졌고 초점이 맞아떨어진 것이다. 전압을 조금 바꿔줬을 뿐인데. 눈앞에 있는 작고 투명한 렌즈는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