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88건 검색되었습니다.
렌즈 하나로 3D 찍는 카메라 기술 60억 원 유치
2014.12.02
경종민 스마트IT융합시스템연구단 단장(KAIST 교수)은 “DA 카메라는 가장 싸고
작은
크기로 입체영상정보를 받을 수 있는 카메라”라며 “현재 DA 카메라의 시제품은 320×240의 낮은 해상도만 실시간으로 입체정보를 얻어낼 수 있어 앞으로 연구를 통해 HD 품질의 사진도 실시간처리가 가능하도록 ... ...
국운(國運) 건 각축전, 아시아 국가 달탐사 경쟁 2라운드 돌입
2014.11.28
1인당 국내총생산(GDP)의 0.24%를 우주 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데 비해 경제 규모가 훨씬
작은
우리나라는 0.03% 수준”이라면서 “독자적인 우주 기술을 개발해야 향후 다른 나라와의 협력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광대역에서 빛의 편광 자유자재로 조절
2014.11.25
성능이 달라지는 등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표면 무늬가 빛의 파장보다
작은
물질인 메타물질을 이용해 빛의 파장의 10분의 1 수준의 얇은 두께에서도 파장에 상관없이 편광을 회전시킬 수 있음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마이크로파의 편광을 0.1㎓~40㎓ 대역에서 주파수에 상관없이 4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책상을 만들어 작업하고 있다. - 강석기 제공 결국 머리를 굴려 일단 책상 옆에 있는
작은
책장 두 개를 일하는 책상으로 써보기로 했다. 위에 덮을 널빤지가 있어야겠다고 생각하는데 문득 바둑판이 보였다. 책장 하나를 덮을 크기지만 아쉬운 대로 서서 작업할 수 있는 미니책상이 완성됐다. 결국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메타물질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망토 효과를 내려면 10nm(나노미터) 크기의 극도로
작은
나노 구조물로 된 메타물질을 만들어야 하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 메타물질을 활용한 진정한 투명망토는 나오지 않았다. 최 연구원은 “로체스터 망토는 메타물질을 대신하기 위한 ... ...
[채널A] 우리 위성, 평양 시내 차량 대수까지 식별
채널A
l
2014.11.19
나라의 지구 관측 인공위성은 아리랑 3호 등 모두 6기입니다. 이 위성들은 평양 시내의
작은
자동차 한 대까지도 또렷이 식별해낸다고 합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개봉 12일 만에 5백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인터스텔라’에서도 지구는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성으로 비쳐집니다. ... ...
흑린(黑燐), 차세대 트랜지스터 주인공 될까
2014.11.17
작은
핸드백 안에도 쏙 넣을 수 있는 두루마리 노트북, 차창에 들어 있는 투명 내비게이션…. 다양한 전자제품을 만들려면 투명하면서도 휘어지는 성능을 가진 반도체가 필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기존 실리콘 소재를 대신해 차세대 반도체로 쓸 수 있는 소재를 찾는 데 성공했다. KIST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별의 관점이므로 여전히 수천 도다) 희미한 빛을 내는 적색왜성이다. 이들은 태양보다도
작은
별들로 최저 한계치는 태양 질량의 7% 정도다. 우주의 나이에 비해 큰 별들의 수명이 무척 짧기 때문에 의외로 정확하게 관측된 큰 별이 많지 않다. 그리고 별이 얼마만큼 무거울 수 있는가에 대한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The Great Depression’이라는 말에 ‘경제 대공황’이 가장 먼저 떠올랐지만 오른쪽
작은
글씨는 이 문구가 우울증을 뜻함을 알려 준다. 우울증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라도 나온 것일까. 아쉽지만 네이처에서 우울증을 표지로 다룬 이유는 우울증이 좀처럼 해법을 찾기 어려운 질병이기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루이스 브루스 컬럼비아대 교수가 1983년과 1984년 잇달아 ‘화학물리학저널’에 아주
작은
반도체 결정을 발표했고, 이후 마크 리드 예일대 교수가 퀀텀닷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퀀텀닷은 실제로 수백~수천 개의 원자가 뭉친 덩어리지만 지름이 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이하로 매우 작아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