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The Great Depression’이라는 말에 ‘경제 대공황’이 가장 먼저 떠올랐지만 오른쪽
작은
글씨는 이 문구가 우울증을 뜻함을 알려 준다. 우울증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라도 나온 것일까. 아쉽지만 네이처에서 우울증을 표지로 다룬 이유는 우울증이 좀처럼 해법을 찾기 어려운 질병이기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루이스 브루스 컬럼비아대 교수가 1983년과 1984년 잇달아 ‘화학물리학저널’에 아주
작은
반도체 결정을 발표했고, 이후 마크 리드 예일대 교수가 퀀텀닷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퀀텀닷은 실제로 수백~수천 개의 원자가 뭉친 덩어리지만 지름이 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이하로 매우 작아 ... ...
[채널A] 혜성 ‘터치다운’ 세기의 우주쇼…3시간 뒤 첫 발
채널A
l
2014.11.13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구로부터 5억 8000만km 떨어진 혜성에 세탁기보다
작은
크기의 무인 로봇을 착륙시킨다’ 인류 최초의 혜성탐사 도전이 드디어 시작됐습니다. 유럽우주국은 약 4시간 전인 오늘 오후 6시 혜성 로제타호에서 무인 로봇 ‘파일리’가 성공적으로 분리됐다고 ... ...
빛으로 신경 조절한다
2014.11.12
주입하고 적외선 빛을 쪼였더니 신경 신호의 크기가 5배 이상 커졌다. 신경이
작은
신호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 금 나노막대로 자극한 신경 조직을 검사한 결과 아무런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환자 치료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 ...
면역질환치료, 4D프린팅… 10년 뒤 유망기술 10선
2014.11.11
저장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보편화 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또 집안에
작은
공장을 두고 원하는 첨단장비를 즉석에서 만들 수 있는 4D프린팅 기술도 주목받았다. ‘안전한 사회’ 분야에선 ▲무인수송기술 ▲지능형 교통 시스템 V2X 기술을 각각 선정됐다. 이들 기술을 통해 사고를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누난증후군은 1000~2500명에 한 명 꼴로 나타나는 발달질환으로 선천성 심장병, 안면기형,
작은
키 등의 증상을 보이며 환자의 30~50%에게서 학습장애가 나타난다. 지금까지 주로 증상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을 뿐 학습능력이나 인지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진은 이 질환에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이 공동 개발한 인공 눈은 획기적인 기술로 평가받는다.
작은
카메라가 달린 안경과 망막 시신경을 무선으로 연결해 시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도 이 안경만 쓰면 앞을 볼 수 있다. 미국, 독일 등 해외 선진국이 인공 눈을 먼저 개발했지만 국내 연구진은 이를 한 단계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눈에 익은 곤충들이 등장했다. 마치 행과 열을 맞춰 줄을 서 있는 것 같은 이 곤충들은 이번호 사이언스에 발표된 ‘곤충 진화 연대표’에 따라 순서대로 늘어 놓은 것이다. 곤충은 자연계에서 가장 종 다양성이 풍부한 동물군이지만 각각의 곤충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주변 온도가 바뀌면 형태를 자유롭게 바꾸는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얼마든지
작은
크기로도 제작할 수 있어 장기나 혈관에 투여하는 의료용 로봇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라이언 헤이워드 교수팀은 종이접기를 활용한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 ...
피 한 방울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2014.11.06
분석 장비로는 측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때문에 KIST 개방형 연구사업단에서는 아주
작은
양의 베타아밀로이드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또 국내외 병원, 대학, 기업체와 융합 연구를 진행해서 혈액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진단하는 ‘나노바이오 센서 시스템’도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