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이효진 충북 산남고·중고등부 바이오문화상) 어미 새의 날갯소리에 잠이 깼는지, 귀여운
작은
새 두 마리가 고개를 내밀고 있다. 배가 고팠던 걸까, 엄마가 보고 싶었던 걸까. 사실은 파리의 겹눈 사이에 더듬이로 보이는 부분을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것이다. 새처럼 보이는 부위의 실제 크기는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종양에 달라붙어 빛을 낸다. ③수술 중에 빛이 나는 부분만을 잘라내기 때문에 1cm 이하의
작은
유방종양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 국립암센터 제공 미국의 여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유방암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가슴을 절제한 사실이 알려지자 유방절제수술을 결심한 여성의 수가 ... ...
“학부 3학년부터 실험실 생활 시작했죠”
2014.09.24
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돌기를 만들고, 이 돌기 위에 다시 0.1μm 크기의 더
작은
돌기들을 덧붙였더니 뼈세포의 생존율이 3배, 뼈로 분화되는 비율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씨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조직 재생’이라는 분야를 처음 접한 뒤 김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관심이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원생동물(왼쪽)에서는 물론 물벼룩(가운데), 제브라피시의 체내에서도 형광나노물질이 발견됐다. - 건국대 제공 수은과 같은 중금속이 먹이사슬을 타고 농축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소비자 단체가 임신부의 참치 섭취를 두고 갑론을박을 벌이는 까닭도 해양 생태 ... ...
운전하면서 전기 만든다
2014.09.24
. - 김호영 서울대 교수 제공 실제로 시속 54㎞의 바람에 노출시켰더니 폭 5cm, 길이 7.5cm의
작은
띠에서 200V 전압의 0.06mA(밀리암페어)의 전기가 생산됐다. 이런 띠를 200개 설치하면 스마트폰을 한 시간 안에 충전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김 교수는 “프로펠러나 발전기 없이도 바람을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많이 오염된 먹이를 먹은 경우 정상 먹이를 먹여도 일부에서 앞날개 크기가
작은
기형이 나타났다. 오타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오염된 정도와 관계없이 방사능 자체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라며 “오염원을 제거하면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점이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중력이
작은
달에서는 발이 지면을 밀고 나갈 때 몸동작이
작은
힘을 더 보태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현대형 우주복 개발에 반영할 예정이다. 이런 연구 결과를 보고 영화 속 영웅들이 뒤뚱거리며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한편으로는 우습기도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생겨 정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다. 박용근 교수는 “지금까지 300nm 보다
작은
물체의 정밀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했지만 살아 있는 세포는 여전히 관찰하기 어려웠다”며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생명공학을 비롯해 광학 측정과 제어가 요구되는 모든 분야에서 핵심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대한 질문에 명쾌한 답을 내놨다. ‘케첩 병을 흔들면 케첩은 왜 액체가 될까?’ ‘
작은
상처에도 반창고를 붙여야 할까?’처럼 생활밀착형 질문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을 해 주는 이 책은 ‘생활 속 과학 해설서’의 전형을 따르고 있다. ‘밀가루가 폭발하는 이유’처럼 다른 책에서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원숭이의 모습이 실렸다. 까맣고
작은
얼굴에 커다란 눈, 흰털로 둘러싸인 모습은 전형적인 북부흰뺨 긴팔원숭이(Nomascus leucogenys)이다. 북부흰뺨 긴팔원숭이는 긴 팔을 이용해 나무에 매달려 살아간다. 서식지인 동남아시아의 밀림이 파괴돼 이들은 안타깝게도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