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수"(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동아사이언스 l2015.07.28
- 뒤 1982년부터 서울대 농생대에서 교편을 잡았다. 1997~2010년 중국 연변대 농학원 명예교수, 2002~2004년 북한농업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남북한 농업용어 비교집(2003)’, 보고서 ‘통일 한반도의 과학기술용어 표준화’ 등을 펴냈다. ksboo@snu.ac.kr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8월호 ...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2015.07.27
- 벽돌 모델”이라고 깎아내렸다. 츠바이크는 실력을 인정받아 칼텍의 교수가 됐지만 지도교수였던 파인만은 여전히 에이스(쿼크)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쿼크의 존재를 지지하는 이론과 실험결과가 이어졌고(아쉽게도 에이스란 용어는 쿼크에 밀렸다) 1969년 겔만은 단독으로 노벨물리학상을 ... ...
-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①] 사용후핵연료 권고안, 어떻게 탄생했나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7.22
-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시적 자문기구인 위원회는 홍두승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를 위원장으로 인문사회·기술공학 분야 전문가 7명, 원전 지역 주민대표 5명, 시민사회단체 대표 3명 등 15명의 민간위원으로 구성됐다. 기술적인 요소 이상으로 주민 수용성이 중요한 사안인 만큼 위원들의 ... ...
- [LIGHT] 꿀잠을 위한 간단 팁, 깜깜하게 자라!KISTI l2015.07.14
- 소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소를 잃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다. 안철우 교수는 “사람마다 개인의 차는 있겠지만 사람은 갈색지방을 갖고 태어나고, 밤에 제대로 자고 건강한 생활을 하면 갈색지방의 감소와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오늘 밤, 꿀잠을 위해 과감하게 인공 ...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2015.07.13
-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거주하면서 식물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도티 교수팀이 미루나무에서 분리한 식물내생생물 가운데 하나인 로도토룰라(Rhodotorula graminis)라는 효모(곰팡이)는 식물호르몬인 옥신을 만들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한다. 벼 접종 실험에 쓰인 식물내생생물에 ... ...
- 생각은 다르지만 방향은 같은 한국, 일본 양국의 원자력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30
- 대한 신뢰가 떨어져서는 안 된다. -松原 隆一郞 동경대학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교수- “원전을 안전하게 운영하는 것 만으로는 부족.” 원자력시설을 안전하게 건설, 운영하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다. 원자력안전을 추구하는 프로세스에 국민이 참여함으로써 납득하도록 해야 한다. 다만, ...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2015.06.29
- 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화학과 상카 발라슈브라마니안 교수팀은 5fC가 전체 시토신 계열 분자의 0.002%도 안 되는 희박한 빈도로 존재하지만 조직별, 발생시기별 패턴을 유지하는 걸로 봐서 여기에는 어떤 기능이 있을 거라고 주장했다. 앞으로 이들 세 분자가, 5mC가 ... ...
- “일방에서 호혜적 관계로”성공적이나 해결할 과제도 많아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6.23
- 스탠다드를 적용하지 않았음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황일순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이번 개정은 생각보다 잘 풀렸다고 본다. 우선 핵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렸으며 원자력 관련 연구에서 상당한 자율성을 확보하게 됐다.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온전히 하지 못한다는 ...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2015.06.23
- 한상준, 김각중, 장세헌 등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도 했다. 1973년 한국과학원의 석좌교수로 귀국했을 때 고희를 넘긴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후학 양성과 연구를 계속해 20년 동안 70편에 가까운 논문을 발표했다.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인물이 현충원에 안장된 경우는 총 4명이다. 그 중 한 명이 ... ...
- 병원체에 대한 고찰2015.06.22
- 미국의 미생물학자 폴 드 크루이프는 대중을 위한 과학저술의 선구자다. 그가 1926년 발표한 책 ‘소설처럼 읽는 미생물 사냥꾼 이야기’는 18개 외국어로 ... 상호관계’라는 좀 더 넓은 관점으로 사태를 바라봐야 한다는 카사데발 교수와 피로프스키 교수의 주장에 공감이 가는 이유다. ... ...
이전5025035045055065075085095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