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거는 그리 멋지지 않다
KOITA
l
2015.03.06
수로에조차 쓰레기가 뒹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시내티 대학의 앨리슨 에머슨
교수
에 따르면 고대 폼페이에서는 쓰레기를 ‘삶의 증거’로 간주했기 때문에 쓰레기에 대한 저항감이 적었을 것이라고 한다. 자연히 도시는 쓰레기로 넘쳐흘렀고 여름이면 참아주기 힘들만큼 악취가 심했을 터다.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비길란트가 있었다. 훗날 둘은 결혼했고 아이도 둘 낳았다. 1996년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
였던 마크는 안식년을 맞아 가족들을 데리고 독일 뭰헨의 패보 박사 실험실로 왔다. 패보는 린다와 가끔 영화를 같이 보곤 했다. “어느 밤 내 아파트에서 멀지 않은 극장에서 어쩌다 서로의 무릎이 ... ...
고효율 자가발전 연료전지 성능 UP!
2015.02.27
한옥희 책임연구원팀은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UC산타바바라) 한송이
교수
팀과 공동으로 연료전지의 전해질막으로 주로 사용되는 ‘나피온(Nafion)’이라는 물질의 성질을 처음으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진은 ‘오버하우저 동적 핵분극(ONDP)’이라는 고성능 분석기기를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최첨단 현미경장비, X선결정학 장비, 핵자기공명(NMR) 장비 등을 갖추고 있으며, 젊은
교수
들의 아이디어와 의욕이 넘쳐 좋았습니다. 그리고 기회가 있으면 학생들을 교육해 후학을 키우기를 원했습니다." 명 단장은 DNA 복구 연구에서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특히 NIH 내 NCATS(National Center for Advancing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교수
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로체스터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을 때 김
교수
의 액시온 이론을 접하고 관련 연구에 뛰어든 것. KAIST 캠퍼스에 실험동이 건립되면 약 5~6년 후부터는 연구단이 세계 액시온 연구 흐름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윔프보다는 생소하긴 하지만,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 스위스 로잔 공과대학(EPFL) 제공 이에 대해 로잔 공과대의 올라프 블랑케(Olaf Blanke)
교수
는 “해당 실험은 제 3의 존재를 인지하도록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유도한 첫 사례”라며 “유령의 존재란 결국 뇌 감각 신호간의 충돌에서 빚어지는 현상임을 시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흔히 ... ...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
IBS
l
2015.02.24
정리한 논문으로 우수논문상까지 받았다. 이때의 인연으로 2013년 2월 학위를 받은 후 이
교수
가 그룹 리더로 있는 IBS에 자연스럽게 합류하게 됐다. 그리고는 계속 관련 연구를 발전시켜 지난해에는 우수연구원상까지 받는 영광을 누렸다. 당연히도 김 연구원은 이러한 모든 성과가 재미있는 일을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연구결과를 놓고 벌어진 일이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의 암유전학자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
와 수리생물학자 크리스티안 토마세티 박사는 신체조직에 따라 암 발생률이 왜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의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즉 오늘날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널리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이때는 플레이트 밑면에 왁스를 발라 더욱 미끄럽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보우든
교수
는 1953년 여러 종류의 왁스로 후속 실험을 진행해 정확한 마찰계수를 찾아냈다. 노르웨이와 스위스와 같은 산악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왁스는 플레이트의 마찰력을 평소의 절반으로 줄여주었다. 그래도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그러나 로봇윤리 개념을 최초로 세운 이탈리아 국립로봇연구원 장마르코 베루지오
교수
는 이런 시각이 오해라고 말한다. 그는 “로봇윤리는 로봇기술을 반대하는 논리가 아니다”라며 “로봇기술의 긍정적 확산을 위해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인류의 ... ...
이전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