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6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의 미래, 결국 사람이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3
기술보다 사람의 문제라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는 “초심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한 언론사와의 대담에서 “국내에서 운영중인 원전이 다른 나라 원전보다 기계적으로는 안전한 것이 맞다. 그러나 원전 안전은 기계보다 사람의 문제다. ... ...
쌀 한 톨만한 컴퓨터 개발… 세포이식 가능한 ‘스마트더스트’ 나온다
2015.04.12
쥐에 이식된 마이크로이식장비에 전원을 충전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실버스텔러
교수
는 “M3는 기술적으로 이미 생산이 가능한 수준이며 앞으로 더 작은 스마트더스트를 개발할 것”이라며 “컴퓨터 크기를 수 백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까지 줄이면 인간의 세포 속에 삽입 할 날이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돌아보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고, 좌장을 맡은 황용석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는 이에 동의하며 주제 설정만 제대로 된다면 시나리오 씽킹이 사회적 신뢰를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나리오 씽킹이 만능은 아니며 한계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아야 ... ...
권달관 전국원자력관련학과
교수
연합회 회장 인터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방사선카운슬러가 체계화된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할 예정입니다. 권 회장이
교수
로 재직한 신흥대학교 방사선의학 전공생들의 실습 모습. 주요 방사선 관련 학과에서 방사선카운슬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신흥대학교 방사선 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사람이나 관련 분야를 희망하거나 ... ...
첫 걸음을 뗀 방사선 안전 파수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박철형 연구원은 상담 전문가로서 방사선 전문 카운슬링의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임창선
교수
는 방사선카운슬러의 활동범위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법제화해야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 분야 일자리 창출이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토론에 참석한 패널들은 각자의 전문영역에서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스프링거는 2012년 공개 학술지 ‘Flavour(풍미)’를 창간했다. 이번 달에도 스펜스
교수
의 ‘귀로 먹기’ 등 흥미로운 주제를 다룬 논문이 올라와있다. 이런 움직임이 삭막하기만 한 과학에 풍미를 더하는 것 같아 더 반갑게 느껴진다.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박사과정을 밟을 때 아메드 즈웨일
교수
의 지도를 받았다. 즈웨일
교수
는 화학결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펨토화학이란 새로운 분야를 탄생시켜 1999년 노벨화학상를 받은 이 분야의 대가이다. “그동안 분자 하나와 관련된 단분자반응을 많이 연구했지만, 분자 2개가 관련된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1811년 작품 ‘모르페우스와 이리스’. - Hermitage Museum 제공 2012년 당시 스피겔먼
교수
팀은 새로 발견한 호르몬에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전령의 여신 이리스(iris)를 다 이리신(irisi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근육의 신호를 지방조직에 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발표된 반박 논문의 제목은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
KISTI
l
2015.03.10
‘후성유전학’인데, 복제 동물도 이 이론에 적용된다는 것이다. 목포대학교 허윤미
교수
는 “같은 수정란에서 시작된 쌍둥이와 달리 복제 동물은 이미 성장해서 유전적으로 변화가 생긴 동물의 세포를 배양한 것이다. 따라서 복제 동물이 자라면서 나타나는 차이가 일란성 쌍둥이의 차이보다 더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실렸다. 미국 조지아주립대 생의과학연구소 앤드류 지워츠
교수
팀은 식품의 유화제로 널리 쓰이는 CMC(carboxymethylcellulose)나 P80(polysorbate-80)이 1% 농도로 들어있는 물을 마신 생쥐와 그냥 맹물을 마신 생쥐 사이의 차이를 조사했다. 1% 농도는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유화제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