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자석의 원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자기력이 미치는 공간을 '자기장'이라고 하는데 이 자기장속에 연철을 뚝뚝 잘라 넣으면
조금
후에는 그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연철 막대기가 자석이 되는 것이다.자석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영구자석과 전자석이 그것인데, 영구자석이 본질적일까? 아니면 전자석이 본질적인 자석일까?결론부터 ... ...
유리컵으로 바이올린 소리 내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모양의 유리컵을 준비합니다. 물컵, 와인잔, 아이스크림잔······.준비됐으면 물을
조금
묻힌 손가락으로 와인잔 가장자리를 따라 문질러 주세요. 소리가 잘 안난다구요? 손가락에 적당히 힘을 주세요. 힘을 너무 주면 컵이 소리내기를 거부한답니다. 유리컵도 부드러운 손가락을 좋아하거든요.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그러나 처음부터 특별나게 거창한 장비들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현재의 여건으로도
조금
만 노력한다면 천체사진 촬영은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보통의 카메라에다가 삼각다리 릴리즈 필름 등 네가지만 있으면 충분하다.그러나 목적에 따라서는 그 외의 것이 필요할 때가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더운 것으로 나오면 모터의 속도를
조금
높이고 서늘한 것으로 나오면 모터의 속도를
조금
줄이면 된다.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이광형 교수는 "퍼지에어컨이란 결국 사람이 자기 느낌을 기준으로 에어컨을 직접 조절하는 행위를 기계가 스스로 알아서 하도록 하는 것이다"고 요약했다.마치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된다."본능이라는 이미 부설되어 있는 길은 절대로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그 길로부터
조금
이라도 벗어나면 그들은 전혀 어찌할 바를 모른다. 주어진 조건이 언제나 같다면 뛰어난 영감을 발휘할 수 있지만, 만일 우발적인 일을 만나게 되면 곤충은 얼빠진 행동을 보일 것이다"라고 '곤충기'의 저자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늘거나 줄어든다. 중력파와 전자파중력파를 좀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에게
조금
은 익숙한 전자파와 비교해서 설명해보자.보통 전하가 진동하면 90도로 교차된 전기장과 자기장이 복합된 파동이 광속으로 방사된다. 이것이 바로 전자파다. 전자파에는 전파 이외에도 마이크로파를 비롯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가장 훌륭한 산개성단중의 하나이다. 크고 밝기 때문에 초보자도 시리우스 밑으로
조금
만 망원경을 움직이다 보면 쉽게 이 대상을 찾을 수 있다. 고정촬영한 사진에도 쉽게 찍혀 나온다. 12월의 유성우12월에 유성우가 있는 날 밤은 1년중 하늘 상태가 가장 깨끗한 날중의 하나이므로, 보통 우리가 ... ...
PART. 3 PC의 새 개념 멀티미디어 열풍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업무용으로 91년의 경우 멀티미디어 전체시장의 69%를 차지하고 있는데 96년 무렵에는
조금
은 낮아지겠지만 60억달러 정도로 여전히 중요한 시장 분야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오락 등 가정용 분야는 가장 잠재력이 큰 분야로 91년 전체 시장의 13%에서 96년까지는 연평균 1백25%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9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사냥꾼 오리온은 죄를 범함으로서 다른 신들에게 배척을 받는다(죄의 종류는 신화마다
조금
씩 다르다). 그래서 아폴로는 전갈을 바다로 보내어 오리온을 뒤쫓게 한다. 그리고는 계략을 꾸며 사냥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로 하여금 가련한 오리온을 쏘게 하였다. 오리온을 죽인 아르테미스는 이를 ... ...
지구위치측정시스템(GPS)이용, 화산피해지역 복구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수신하는 '상대측위'(토목건설측량의 경우)인가에 있다.'단독측위'의 경우 위성이
조금
씩 지구를 향해 낙하하는 등의 미묘한 변화가 오차를 만들어내는데 반해 '상대측위'는 위성의 전파를 수신, 한쪽을 기준국으로 하여 두 대의 수신기의 상대측위를 먼저 평균낸 다음 다른 한쪽이 측량의 각 지점을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