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적응시켜 자세히 보면 고리들의 밝기가 서로 다르며 ,바깥쪽 고리가 안쪽의 고리보다 조금 더 어둡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 두 고리 사이에는 틈이 있는데, 이것이 발견자의 이름을 붙인 '카시니의 간극'이다. 이 간극은 폭이 약 5천km 가량 되는데, 조건만 좋다면 1백mm 구경의 망원경을 ...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단백질에서 작은 단백질이 형성되지 않으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작은 단백질이 잘려 조금씩 축적된다. 처음에는 그 양이 적어서 심각할 정도의 뇌기능 손상을 야기하지는 않지만 노인성치매에 걸리게 되면 작은 단백질이 대량 잘려 축적되어 광범위한 신경세포의 파괴가 오는 것이다.그러면 긴 ... ...
- PART 2 PIMS 소프트웨어 7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때는 작업의 중요도에 따라서 구분해 나눌 수 있으며, 등급에 따라서 화면 출력시 위치가 조금씩 다르게 보인다. 만약 작업관리에 입력된 내용에 대해서 시간이 지났으면 자동적으로 색깔을 빨간색으로 바꾸어주고, 줄을 그어서 해당 작업이 끝났음을 알려준다.이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주소록은 ...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과학동아 l1993년 10호
- 할 수 있다."이제는 수업시간에 들어가서 여유가 좀 생겼다. 과거에는 교과서를 조금만 벗어나도 '진도나가자'는 압력이 대단했는데 어떤 이야기를 해도 학생들이 진지하게 듣는다. 물리를 가르치면서 지구과학이나 화학 얘기를 할 수 있고 중심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모든 가능한 과학적 물음들이 다 해결되었다 하더라도 우리의 삶의 문제들은 여전히 조금도 건드려지지 않은 채 남아 있다"고 설파하였다. 참으로 오늘 이 순간 우리가 처한 상황을 한마디로 나타내주는 예지력 엿보이는 발언이 아닐 수 없다 ...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생태계에 대한 조금의 고려도 없이 개발의 깃발아래 무계획적으로 파헤쳐진 우리 국토. 이제 이 땅에는 동물은 커녕 미생물조차 살기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 국토를 따라 연이은 산은 실상 주변 생태계와 연관을 갖지 못하는 섬이 되고 만 것이다.우리 국토는 전체 면적의 3분의2가 산이어서 우리 ... ...
-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과학동아 l1993년 10호
- 그믐이 된 달과 더 이상 관측이 불가능해진 목성과 더불어 태양이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 조금 치우친 곳에는 화성과 수성이 있고, 서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금성이 중심방향으로 접근해 있다. 그러니까 낮 12시 경에 이것들은 남중을 한 태양의 좌우에서 화려한 자태를 뽐내며 빛나고 있을 것이다. ... ...
- 공간기억의 일시저장은 오른쪽 뇌에서 담당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그 번호를 외우거나 누군가를 소개받으면 그 자리에서만은 그 이름을 기억할 수 있는데 조금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심리학자에 의하면 인간은 중요한 정보를 짧은 시간 '워킹 메모리'에 저장한다고 한다. 이 저장은 일시적이고 그 용량도 정해져 있다. 말하자면 긴 시간의 '기억'은 ... ...
- 군함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있다.함정의 명칭은 함정규모 및 특성에 따라 분류되지만 분류기준은 각각의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미국 해군성의 군함분류에 따르면 군함은 전투함, 기타 전투함, 전투주정 그리고 보조함으로 구분된다. 전투함에는 항공모함 수상전투함(전함 순양함 구축함), 잠수함등이 있으며 기타 전투함에는 ...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과학동아 l1993년 09호
- 대칭적이라는 것이었다. 그는 자기의 방정식을 바꾸어 '우주상수'를 도입함으로써 '조금 수정했던 것'이었다. 그러나 일반상대성이론이란 그 자체가 아주 완벽한 이론이어서 우주상수라는 것은 전혀 쓸모가 없었으므로 나중에 후회하고 말았던 것이다.1922년에 러시아의 수학자 프리드만(A. Friedmann)온 ... ...
이전5055065075085095105115125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