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초
의 직업병전문연구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산업중독연구실과 진폐연구실을 갖추고 정식으로 개원한 직업병연구소는 비록 작은 규모이기는 하지만 직업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처음 시작한다는 점에서 그 역할이 기대된다. 우리나라에도 직업병 전문연구소가 문을 열었 열었다. 인천시 북구 구산동에 위치한 중앙병원내에 근로복지공사 ... ...
진시황의 지하무덤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여산의 북쪽 산록에 만들어진 거대한 능묘내에서 영원히 잠들어 있는 사람이 중국
최초
의 황제인 진시황제(BC 259년~210년)이다 (시황제릉은 여산의 산록에 있기 때문에 여산릉이라고도 불리운다.).‘천고일제’(千古一帝)로 칭송되었던 이 인물은 살았을 때 용맹을 떨치면서 6개국을 병합, 중국을 ... ...
리드프레임 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올라가고 연신율도 함께 증가되기 때문이다.이같은 아이디어의 구체화작업이 곧 한국
최초
의 리드프레임 개발과 연결되었다. 새로 개발된 이 리드프레임은 PMC-102로 명명하였는데 기본 화학조성은 Cu-1.5Ni-0.3Si-0.03P였다. 한편 미국 동(銅)개발협회(CDA)에서는 이를 CDA 190이라고 따로 불렀다. CDA번호는 ... ...
당신도 PC통신 유저가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1987년 4월에 개통한 한글전자사서함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우리나라
최초
의 전자사서함이라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초창기의 PC 통신광들을 키워냈다는 의의도 함께 가지고 있다. 전자사서함 서비스는 정보은행 서비스와는 달리 사용자가 수동적인 입장에서 증권정보나 보는 차원이 ... ...
유전자 조작기술을 활용한 유전병 치료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문헌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주제이다. 그러나 현실은 이미 결정되어, 낮은 해상력의
최초
의 유전자 지도가 출판되었다.유전자 조작 유전자란 살아있는 세포들의 구성물질인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정보의 암호문이다. 유전자는 염기라는 화학적 단위(subunits)들이 포함되어 있는 복잡한 분자인 ... ...
영국
최초
의 과학학위 가진 수상「대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화학을 전공한 '마가렛 대처'수상은 과학분야 학위를 가진
최초
의 영국 수상이다. 그러나 그가 막상 과학에 대해 냉담한 태도를 갖고 있으며 과학정책의 조정에도 소극적으로 대처한다는 비판이 영국에서 나오고 있다.대처수상은 학생때 실험실에서 열심히 실험하고 능률적으로 일처리를 했지만 ... ...
효소목욕 캘리포이나에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40여년전에 창안된 효소목욕이 캘리포니아주에도 상륙, 인기를 끌고 있다.미국
최초
의 효소목욕시설은 샌프란시스코 북방 80km지점에 있는 '소노마'카운티에 세워졌는데 지난 3년간 7천여명이 시설을 이용했으며 업주는 인기가 좋자 캘리포니아의 다른 지역 4군데에 시설을 더 세울것이라고 한다 ... ...
PART2 한국조선산업의 미래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등 조선소들이 부산해졌다. 지난해에는 특기할만한 사항이 있는데 바로 수출선분야에서
최초
로 일본을 앞서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주문을 받은 것이다. 물론 국내선까지 합쳐서 생각한다면 아직 일본의 그것에 못미치지만 이것만으로도 우리조선공업의 장래가 결코 어둡지 않다는 사실을 읽을 수 ... ...
반도체 산업계를 뒤흔든 16메가칩 개발의 진상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이 내용만으로 16메가D램 개발의 진위를 판단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일본 NTT가 87년 세계
최초
로 16메가D램을 개발했다고 발표한지 2년이 지난 지금에도 시제품조차 선보이지 못하고 있는 설정인 것이다.결국 어느 단계까지를 개발로 볼 것이냐는 문제가 남게 된다. 통상적으로 반도체는 개발,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서울 혜정교와 정묘 남쪽거리에 설치하게 한것이다. 따라서 이 해시계들은 우리나라
최초
의 공중시계인 셈이다.그러나 오목해시계들은 임진왜란 때에 모두 없어져서, 명맥이 끊어지는 듯 했다. 그러다가 17세기 후반, 현종~숙종 때에 조선 천문학의 새로운 발전이 시작되면서 앙부일구도 다시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