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떨어져나간 팔을 재결합시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근육 신경 뼈들이 제 기능을 되찾았다. 이 수술은 역사상 두번째 시도된 것이었는데,
최초
의 수술은 유고의 의사 마르코스 고디나씨에 의해 1986년에 수행 되었다 ... ...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한 것은 1880년 경이다. 쾨니히와 갈톤이라는 학자에 의해
최초
로 파헤쳐졌던 것이다. 그들은 인간이 얼마나 높은 주파수까지 들을 수 있나를 실험하기 위해 소리굽쇠나 오르간 파이프등의 원리를 이용, 공기중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만들었다.그러나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기술단지'에는 이런 새로운 종족이 계속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이런 기술단지가
최초
에 등장한 것은 스탠퍼드대학 주변이었다. 1975년에 '산호세'일대에 하이테크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54개사나 모여 실리콘밸리를 형성한 것이다.서해안의 실리콘밸리와 달리 동해안에서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된다. 첨성대와 플라네타리움국립종합과학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국내
최초
의 국제수준급 플라네타리움(천체관).안지름 약 23미터, 좌석 3백석의 반구형(半球型) 돔(Dome)형태의 원형극장인 이 천체관은, 신비스런 우주현상과 미래의 우주탐험 및 개발에 관한 영상으로 관람객들에게 ... ...
DNA분자를 처음 보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세우게 되었다.이제 이 현미경은 1백만배의 확대기능을 가지며 지난 1월 DNA분자를
최초
로 관찰하는데 쓰여졌다. 이때 캘리포니아 '리버모아'연구소의 '마이켈 B. 살메론'과 기타 여러사람이 참여했다.DNA는 생명의 설계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다. 모든 살아가는 세포는 자신을 계속 ... ...
8비트냐, 16비트냐 교육용 PC논쟁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단순한 게임용 오락기구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특히 83년 문교부가
최초
로 각급학교에 교육용 컴퓨터 보급을 결정하면서 금성사 한국상역(現 한국컴퓨터) 삼보컴퓨터가 전국 1백60개 실업계고등학교 등에 보급한 5천대의 컴퓨터와 함께 지금까지 4천17명의 전산담당교사가 8비트 동양 ... ...
20세기 최대의 과학계획 초전도 거대가속기는 왜 필요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소요된다. 수백만 볼트의 전압이 필요하다. 1972년 시카고 근교 '페르미'연구소에 미국
최초
의 고에너지 가속기가 건설되었을 때 2억4천3백만 달러가 들었고 지난 83년 현대화 개수를 했을 때 다시 1억달러가 들었다.제네바에 있는 가속기(오는 7월 준공)도 페르미 가속기 건설비의 배가 들고 있다. 유럽 ... ...
「정보문화의 달」 다양한 행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참조)올해로 2회째를 맞는 정보문화의 달은 67년 6월 24일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에 국내
최초
로 컴퓨터가 운용되었고, 87년 6월 30일 전화의 전국자동화가 실현된 것을 기념하여 지난해 제정되었다.한편 정보문화센터가 정보문화의 달을 맞아 전국민을 대상으로 현상공모한 표어당선작에는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무엇이든 반대로 생각해 보는 것이다.손으로 전진 후진하고 발로 방향을 조정하는 세계
최초
의 세발자전거(상품명은 OH투투)를 발명, 일본에 전량 수출하고 있는 오석상사 오명근사장이 이 방법으로 가장 성공한 예이다. 오사장은 손과 발이 하는 일을 바꿔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끄는 발명을 한 ... ...
극한 상태에서 사는 생물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열대광상에 오아시스를 형성하고 있는 생물들은 어쩌면 혼돈속의 지구상에 생긴
최초
의 생물에 대하여 우리에게 새로운 설명을 하여줄지도 모른다.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큰 문제의 하나가 환경문제이다. 최근에 지구과학자와 생물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멸절하는 다이나믹스'라는 제목으로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