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키로 남극정복에 성공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동료들과 함께 남극점에 도달했다.그녀는 남극에 도착한
최초
의 여성이자 스키로 여행한
최초
의 탐험가가 된 것이다.셜리는 스키를 지치면서 22파운드 무게의 비디오와 기타 카메라장비를 끌고 남극에 도착했으며 극점에서 서핑을 하다 죽은 형제를 추모하는 T셔츠를 입고 기념촬영을 했다. 셜리 ... ...
전자제품의 정밀화 소형화에 기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전기전도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1974년 대학원 논문 연구테마로 관심을 두었다가 국내
최초
개발의 주역이 된 김윤근박사는 PCB의 장래를 이렇게 진단한다."전자제품이 소형화 정밀화되고 회로망의 간격이 좁아져 더욱 얇은 동박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에 우리가 개발한 동박두께는 18~35μ인데, ... ...
식품포장재 랩 논쟁4년 PVC는 랩의 원료로 타당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보호 논쟁86년 9월 크린랩사는 3년동안 4억원의 개발비를 들여 LLDPE랩을 가정용으로는 세계
최초
로 개발했다고 밝히고 미국 일본 등에 특허공개와 함께 우리나라 과학 기술처에 3차례에 걸쳐 신기술보호신청을 냈다. 과기처는 그동안 크린랩의 신기술보호요청에 대해 상공부와 보사부의 의견을 들어 ... ...
두손으로 가슴을 치는 사연은? 고릴라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지방에선 인간과 닮은 거대한 괴물이 살고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내려 왔다. 고릴라의
최초
발견자는 약 2천5백년전 고대 카르타고(아프리카북부의 고대 도시국가로 BC 146년에 멸망) 사람인 '한노'였다. 그는 서부 아프리카지방(지금의 가봉)을 탐험하던 중 인간과 같은 모습을 하고 털이 많은 '괴물'을 ... ...
세계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해외 여행자를 노리는 감염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월 아프리카의 열병 라사열(Lassa fever·서부아프리카 나이지리아의 벽지 라사에서 1969년에
최초
로 보고된 건기에 간헐적으로 유행하는 열병. 병원체는 RNA 바이러스로 들쥐가 매개한다. 일본에서는 법정전염병에 준하여 다룬다)이 상륙하였다하여 초비상이 걸린 이후 지금 대책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 ...
최초
의 언어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크로마뇽인들이 2만5천여년전에 오늘날의 프랑스와 스페인에 있는 동굴 깊숙이 채색 동물화를 그렸을때 그들은 어떤 말을 사용했을까? 이 의문에 답하기 위해 진지하게 노력하고 있는 학자들이 있다는 것을 믿겠읍니까?어떻게 옛말을 찾아낼 수 있을까? 옛사람들은 자기네 유골이나 도구 그리고 예 ... ...
고압의 물로 쇠를 동강낸다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권오관 안영재박사팀이 물칼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2년여의 연구 끝에 국내
최초
의 물칼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가장 세련된 절단법물칼의 대강은 이렇다. 우선 물을 4천기압(1cm²당 4천kg)정도의 고압으로 올린다. 이어 이 고압수를 머리카락 몇 올 정도인 지름 0.1~0.5mm 노즐을 통과 시킨다. ... ...
형상기억합금이라는 여의봉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지금까지 개발된 형상기억합금들을 살펴보자. 대표적인 합금은
최초
로 등장한 니티놀을 들 수 있다. 니티놀은 성능면에서 아직까지 가장 우수한 형상기억합금으로 평가되고 있다. 스테인리스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기억온도는 -50℃에서 1백50℃사이의 온도구간을 갖는다. ... ...
모스크바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소련 민중이 자랑하는 이 지하철은 1935년에 소콜리니키공원과 고르키공원 사이의 11.6km에
최초
의 노선이 깔렸다. 현재는 총연장 1백9km에 전철역의 수는 75개나 된다. ‘노동자의 영광을 나타내는 성전 같이 만들어 그 속의 공기는 숲 속의 공기처럼 맑지 않으면 안되고 대리석 바닥에는 먼지가 ... ...
개척분야에서 뛰고픈 욕망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비로소 자체 기술로 설계한 비행기를 제작할 수 있는 단계에 들어섰다. 우리나라
최초
의 항공공학 박사인 장극박사가 설계한 한국형 경비행기의 설계가 끝난 것이다. 그러나 실망할 필요는 없다. 비록 아기가 처음으로 한 걸음을 옮겨 놓은 상태이긴 하지만, 우리나라 항공사는 지금부터 시작인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