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류가 바이러스라는 존재를 처음 인식한 건 1892년이었다. 이때도 ‘세균보다 작은 어떤 물질이 있다’ 정도의 추측뿐이었다. 그전까지 인류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수 ... 있다. 첨단 과학기술이 발달한 지금도 바이러스 세계는 아직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인
셈
이다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DNA나 RNA를 유전체로 가진다. 바이러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런 유전체를 복제해 증식하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유전체를 복제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 ... 복잡하고 정교한 유전체 복제 과정을 거치는 다른 생물과 정반대의 전략을 구사하는
셈
이다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구증상이 보일 때 백신을 맞으면 발병을 막을 수도 있다. 백신인 동시에 치료제인
셈
이다.HIV의 경우 감염된 뒤 2~4주간 가벼운 감기 증상이 나타난 뒤 무증상 잠복기에 들어가는데, 이때부터 바이러스의 증식이 시작된다. 잠복기는 8~10년으로 매우 길다.자신의 유전체를 숙주인 박테리아 (세균)의 DNA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주입해 괴사를 일으키게 유도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항원을 무력화할 능력을 갖춘
셈
이다.자연살해세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수지상세포를 통해 항원에 대한 교육을 받은 T림프구나 B림프구가 오기 전에 선천 면역반응 단계에서 공격할 세포(항원)를 인식해 완전히 사멸하는 능력을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데 바이러스 연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
이다. 1978년 델브뤼크는 캘리포니아공대의 ‘오럴 히스토리 프로젝트’에 참가해 자신의 생애를 인터뷰로 남겼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델브뤼크는 “과학이 어떤 방법보다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일찍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스넬이 쥐에게서 찾아낸 H2항원 유전자의 역할을 사람의 몸에서는 HLA 유전자가 하는
셈
이다. 이처럼 척추동물의 몸속에는 외부 물질을 구별하는 고유한 항원이 있고, 세포는 그 항원을 표면에 돌출시키는데, 이를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한다. HLA 유전자는 MHC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역할을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은 평생 유지된다. 어렸을 때 한 차례 접종한 백신이 평생토록 예방 효과를 내는
셈
이다. 물론 예외도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백신 등은 매년 새로운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매우 활발하게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항원 부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년 유행하는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코에 묻히는 인두법(人痘法)이 시행됐다. 환자에게서 얻은 시료를 백신처럼 활용한
셈
이다. 이런 방법은 현대 생물학의 관점으로 보면 위험천만한 일이다. 병원성이 온전한 바이러스를 체내에 접종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두법으로 천연두를 예방하려다 되려 천연두에 걸려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2019년 말부터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간 유행함에 따라 공포심을 한층 더 부추기는 루머들도 등장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코로나19를 유발한 사스 ... 것보다 훨씬 치명적이고 전파율도 높은 신종 바이러스가 개발되지 않으리란 보장도 없는
셈
이다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시스템을 작동할 준비가 돼 있어, 특별히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
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면역반응은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