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복합체(MHC)도 필요하다는 걸 의미했다. T림프구의 킬러 본능은 자신 안에서만 발휘되는
셈
이다. 면역세포가 작동하려면 자신과 외부 물질을 동시에 인식해야 한다는 이들의 발견은 면역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핵산 백신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백신 개발 전략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DNA, RNA 같은 핵산이 주성분이다. 유전공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백신 연구자들은 바이러스의 항원 ... 국내에서는 처음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코로나19 백신 속도전에서는 핵산 백신이 가장 앞서있는
셈
이다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됐을 뿐이다. 집단면역을 얻으려면 아직도 엄청난 수의 사람이 질병에 걸려야 하는
셈
이다. 집단면역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다.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코로나19는 매우 위험하고 해로운 질병으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다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
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의 사촌격 단백질이다. ACE는 원래 체내에서 혈압과 대사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ACE2도 체내 수분과 혈압을 조절하는 단백질이지만 ACE와는 다른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면 인체 침투를 위한 첫 관문은 통과한
셈
이다. 다음 단계는 숙주세포의 지질 이중층을 뚫어야 한다. 우리 몸의 세포막은 친수성인 머리와 소수성인 꼬리로 이뤄진 지질이 두 겹으로 싸고 있는 지질 이중층 구조다. 세포 바깥과 세포질 안쪽으로 각각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후천 면역반응의 핵심인 T림프구과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수지상세포의 도움이 필수인
셈
이다. 공교롭게도 스타인먼은 노벨상 수상 발표 사흘 전인 2011년 9월 30일, 약 4년 6개월에 걸친 췌장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고, 노벨 위원회는 스타인먼의 작고 소식을 모른 채 수상자로 결정해 공표했다.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코로나바이러스 침공 세 번째 만에 처음으로 성공에 가장 가까운 항바이러스제가 등장한
셈
이다.코로나19 전용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완치자의 혈액에 포함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항체를 환자에게 투여해 치료하는 항체치료제가 대표적이다. 항체치료제의 원리는 백신이 ... ...
[동상이문] 6화 낭만과 숫자 사이 '머니볼'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통계학자에 의해 발전했는데, 빌리 빈은 처음으로 세이버메트릭스의 실용성을 증명한
셈
이지. 제임스가 고안한 가장 유명한 통계 지표는 ‘피타고리안 승률’이야. 팀의 득점과 실점을 바탕으로 승률을 계산하는 공식인데, 피타고라스 정리와 비슷한 모양새라 이런 이름이 붙었지! 수식이 무척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arcuate nucleus)에 작용한다. 궁상핵이 식욕과 식이행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컨트롤타워인
셈
이다. 특히 궁상핵에 존재하는 POMC(proopiomelanocortin) 신경세포와 NPY/AgRP(neuropeptide Y/agouti-related peptide) 신경세포는 각각 식욕 조절의 ‘주연’과 ‘조연’을 번갈아 담당할 만큼 중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본래 목적과 멀어질 수 있다. 표지 작업은 과학과 예술의 균형을 맞추는 작업인
셈
이다. 온종일 그림만 그리던 아이나에게 ‘과학자’는 대부분 어릴 적부터 공부를 잘한 사람들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지금은 그들에게 필요한 일을 하고 있지만, 사실 나의 어린 시절 성적은 과학자와는 거리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