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상이문] 6화 낭만과 숫자 사이 '머니볼'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통계학자에 의해 발전했는데, 빌리 빈은 처음으로 세이버메트릭스의 실용성을 증명한
셈
이지. 제임스가 고안한 가장 유명한 통계 지표는 ‘피타고리안 승률’이야. 팀의 득점과 실점을 바탕으로 승률을 계산하는 공식인데, 피타고라스 정리와 비슷한 모양새라 이런 이름이 붙었지! 수식이 무척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담긴 열량을 소모하기 위해 타자를 치는 것은 칼로리 소모 관점에서는 큰 효과가 없는
셈
이다. 우유 한 팩 열량 태우려면 1kg 아령 12만 번 들어야살을 빼기 위해 사람들이 많이 찾는 헬스클럽으로 가보자. 이곳에서 우리가 에너지를 쓰는 운동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걷거나 달리기를 하면서 ... ...
더워지는데, 등교하는데… 코로나19 언제 멈출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몸속에서 중화항체가 검출되면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기본적인 면역력을 갖춘
셈
이다.그런데 코로나19의 경우 중화항체가 형성된 경우에도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타나는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4월 22일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감염 후 회복 중인 환자 25명을 분석한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빛을 반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금속 박막이 사용된 반사형 ND필터 역할을 할 수 있는
셈
이죠.박승한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과자봉지에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이 일부 빛은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시켜 ND필터와 유사한 효과를 낸다”며 “다만 애초에 촬영용으로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빛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유지할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에너지를 만드는 중요한 생물학적 기관을 통칭하는
셈
이다. 식탐 유발 유전자 ‘MC4R’체내 에너지의 균형이 심리적·환경적·유전적 요인 등으로 깨져 에너지의 저장과 소비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하면 살이 과도하게 많아지거나 줄어들면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될 수 ... ...
美 9년 만에 유인 탐사 재개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맡았다. 우주왕복선 시대의 끝과 새로운 유인우주선 시대의 시작을 모두 함께 하는
셈
이다. 헐리는 5월 4일 NASA 공식 유튜브 영상에서 “이번 발사를 통해 9년 만에 미국 본토에서 국제우주정거장으로 우주비행사를 보내게 됐다”며 “달과 화성에 우주비행사를 보내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시뮬레이션이라는 설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자신이 컴퓨터 속에서 사는 인공지능이 되는
셈
이죠. 혹은 먼 훗날 인간의 문명이 그런 수준에 도달한다면, 우리가 그런 시뮬레이션 세상을 만들지도 모릅니다. 생명창조자의 율법을 쓴 제임스 호건의 또 다른 작품인 ‘별의 계승자’ 4권 ‘내부우주’에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만다. 살의 양이 변화하는 속도는 매우 다양한 인체 내외적 요인들에 의해 좌우되는
셈
이다.모든 화학물질의 대사 과정은 단순히 화학 결합이 끊어지거나 바뀌는 단편적인 화학반응만으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신경계나 호르몬계 등의 체내 시스템과 함께 상호 보완적인 복잡계를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612km 구간을 단 30분에 주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부산 구간(약 400km)은 20분이면 가는
셈
이다. 2019년 7월 독일 뮌헨공대 연구팀은 로스앤젤레스 공항 인근의 3km 길이의 하이퍼루프 지하 터널에서 시속 288마일(463km/h)로 달리는 데까지 성공했다. 중국 국영 군수업체인 중국항천과공집단(CASIC)은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arcuate nucleus)에 작용한다. 궁상핵이 식욕과 식이행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컨트롤타워인
셈
이다. 특히 궁상핵에 존재하는 POMC(proopiomelanocortin) 신경세포와 NPY/AgRP(neuropeptide Y/agouti-related peptide) 신경세포는 각각 식욕 조절의 ‘주연’과 ‘조연’을 번갈아 담당할 만큼 중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