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3) 발암 위험성 높은 포장재 남용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그 내용물조차 파악하기 어렵다.그런가 하면 세트로 사는 경우 오히려 더 비싸게 구매할
가능성
도 없지 않다. 여러 개를 한번에 구입하니 훨씬 쌀 것이라고 예측하기 십상이지만 실제로는 더 값비싸게 사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는 것이다.또 소비자들이 알아보기 좋도록 글씨를 겉포장에 뚜렷이 써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긴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π° 붕괴보다 훨씬 약한 상호작용이 있으며 그래서 붕괴
가능성
이 적다. 이 힘이 약력으로 핵의 방사능 붕괴에서 흔히 볼 수 있다.약한 아교입자인 ${W}^{+}$ ${W}^{-}$ ${Z}^{0}$가 하는 일중 대표적인 것이 다음과 같은 것이다. 하드론(hardron) 속의 기묘한(strange) 쿼크와 ... ...
(1) 21세기는 무선통신 천국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것이다. 단일채널방식에는 아파트등 주거밀집지역에서의 혼신 타인전화도용 등의
가능성
이 상존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MCA방식을 도입한 것이다.흔히 보는 워키·토키도 1백40㎒대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단일주파수에서 송·수신이 이루어지므로 PTT(Press-To-Talk)방식으로 운영되고 ... ...
생물은 더 작아질 수도 더 커질 수도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문제'를 제시한 바 있다. 즉 여러 사람이 모여있을때 같은 생일을 가진 사람이 있을
가능성
이 얼마냐는 문제였다. 답은 23명이 모이면 확률이 1/2이 넘고 50명이 넘으면 97%의 확률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문제로 다음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두사람이 각각 52장의 카드쌍을 갖고 있다. 잘 섞은 ... ...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인류전체를 위한 수자원으로서의 이용
가능성
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세종기지는 남극의 관문에 위치90년 1월 필자는 한국 남극연구프로그램의 제3차 월동대로 선발돼 13명의 대원과 함께 1년여 동안 세종기지에서 상주하며 각종 연구를 ... ...
핵융합발전에 큰 진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셈이다.핵융합발전을 위해서는 고온의 플라즈마를 가두는 장치가 필요한데, 현재 가장
가능성
있는 것으로 토카막이 부상되고 있다. JET는 세계 3대 토카막장치의 하나로 에너지 입출력 비에서 0.8까지를 실현, 가장 앞서가고 있는 '우등생'이라고 할 수 있다.특히 이번에 처음으로 핵융합원료로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환자측이나 의사측 모두 극도로 고달퍼진다. 그래서 일부 의사들은 의료사고가 발생할
가능성
이 있는 환자를 의식적으로 피한다. 이를테면 방어진료를 하는 것이다. 대개 야간진료 응급환자 중증환자 수술환자 등을 기피하는데, 이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쳐 환자가 치명적인 피해를 입는 경우도 종종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시리우스 B의 발견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었던 19세기 선교사나 여행가의 방문을 받았을
가능성
이 더 높다. 도곤족은 곧바로 이 정보를 그들의 종교적 신화 속에 집어 넣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추측일 뿐이다.큰개자리의 신화에는 별로 뚜렷한 것이 없다. 가장 널리 알려진 바로는 작은개자리와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무한한
가능성
을 갖고 있는 우리 어린이들의 앞날처럼 해답이 많다. 어린이들은 수많은
가능성
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자의 노력에 따라 다양한 꿈을 이룰 수가 있다. 발명도 이와 같다는 것이다.그런데 우리는 학교에서 늘 하나의 해답만을 찾고 익히고 기억해두면서 자랐다. 그래서 자기도 모르는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한편, 해외과학자들은 국내에서 자신의 활동
가능성
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됐다.이러한 다각적인 두뇌유치활동으로 KIST에서만 10년동안 수백명에 달하는 해외두뇌를 유치했고 이어 한국과학원(KAIS, 한국과학기술원의 전신)의 설립과 한국원자력연구소 등 일부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