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선거전략의 핵심참모로 큰 활약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의존하는 여당의 선거전략에 날개를 붙여준 꼴이 아니냐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그럴
가능성
이 있고 충분히 타당성이 있는 얘기다.그러나 컴퓨터는 이제 중고등학생들도 손쉽게 활용할만큼 충분히 대중화됐다. 그리고 컴퓨터이용은 전사회적인 추세이며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이 확실시된다. ... ...
환자 5%가 병원서 새 병 옮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병원체를 환자에서 환자로, 혹은 자신의 세균을 저항력이 약한 환자에게 전달해줄
가능성
이 적지 않다. 따라서 의사나 간호사 등 환자와 자주 접촉하는 의료인은 손을 항상 깨끗이 씻도록 해야 한다. 손을 깨끗이 씻는 일이야말로 평범하지만, 병원감염을 예방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이며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있다. 따라서 상호작용을 하는 두 은하가 느끼는 중력은 훨씬 커지게 되므로 서로 충돌할
가능성
은 한층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만약 은하의 중심부에 블랙홀이 존재한다면 이 블랙홀도 은하의 충돌현상을 간접적으로 증명해줄 수 있다. 블랙홀이 은하의 중심부에 있을 경우 이 블랙홀은 주변의 빛을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게다가 지나친 수험경쟁으로 운동부족 상태이므로 콜레스테롤이 체내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
은 무척 크다. 학자들은 연령이 낮아도 콜레스테롤 함유식품을 다량 섭취할 경우, 동맥경화 등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가톨릭 의대 맹광호교수(예방의학)는 "콜레스테롤을 지식으로만 ... ...
타이탄의 대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답을 제대로 해주진 못한다. 도대체 질소가 처음에 어디로부터 온 것일까?그렇다면 다른
가능성
을 들어보자. 다른 거대한 행성과 마찬가지로 토성은 그 대기층에 상당한 양의 암모니아 가스를 가지고 있다.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로 만들어진다. 만일 타이탄이 토성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얻었다면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거두지는 못했다. 결국 해링튼도 최근에는 행성X가 천왕성의 부스러기일지 모른다는
가능성
을 조심스레 얘기하곤 했다.런던 웨스트필드대학의 마이클 로완 로빈슨씨의 견해는 이보다 훨씬 비관적이다. 그는 적외선관측망원경(IRAS)으로 이 행성X를 찾아온 결과 "나는 이 행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7 ... ...
일본 과학의 독창성 논쟁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코울만 박사의 연구결과는 어떤 문화권의 민족이 다른 민족보다 창조성이 떨어진다는
가능성
에 대해 부정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어떤 인류학자도 '국민성'을 인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문제는 아직 명쾌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이익보다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손해라고 생각하지 않겠는가. 그런데 만약 자기네가 돈을 댄다면 위험이 있어도 쓸
가능성
이 크다. 그래서 계약연구를 해야겠다고 결심을 했다. '선(先)연구 후(後)사용자 물색'이 아니라 연구할 때 미리 돈을 받는 기업과 같은 방식을 채택했다.초기 유학생 이론물리 핵물리에 치우쳐두번째 고민은 ... ...
AIDS비상, 환자관리 이상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규정했다. 또 모든 HIV감염자를 강제로 격리시킬 경우, 일반인으로 하여금 HIV에 감염될
가능성
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잘못된 생각을 갖게 하기 쉬우므로 오히려 역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손쉬운 예방법마저 소홀히 하기 십상이라는 것이다. 또한 HIV감염자들이 지하로 잠적해 예방 및 ... ...
종합 의학 연구기관 설립 더 늦출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생명과학을 다루는 기존의 여러 연구소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공동연구의
가능성
을 찾아야 한다. 또 질병의 기초의학적 규명에 그 중점을 둬야 할 것이다. 이 연구소는 또한 국민보건상 가장 중요시되는 질병의 연구와 기초적인 통계자료 수집에도 열중해야 한다. 아울러 의약분야의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