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한국전력공사 기술연구소의 한 연구원은 "전기자동차보다 실용화
가능성
이 크고 그 출현시기가 빠를 것이 확실한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최근에 기아자동차 초청으로 서울을 다녀간 독일 아헨대학의 헬링교수도 "한국도 하이브리드차 연구에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이 해안절벽이 만들어졌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고 말한다.하와이의 급격한 침강
가능성
에 대한 논쟁은 일찍이 1890년부터 시작됐다.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지질학자인 제임스 다나는 오아후섬의 누아누팔리나 카우아이섬의 나팔리 해변 등이 모두 분리와 해안쪽 사면의 추락때문에 ... ...
「노화 유전자」후보들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애늙은이' 세포에는 1백2개의 유전자가 남달리 유난스러웠다. 이들중 노화유전자일
가능성
이 높은 유전자는 10여개로 압축되고 있다.도쿄대학 이학부의 오다교수는 정상적인 인간의 노화한 세포와 젊은 세포를 비교한 결과, 다르게 활동하는 유전자 1백여개를 찾아냈다. 이들중 30여개는 미지의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불구하고 우리가 현재 평안하게 살 수 있는 것은 앞으로도 수백만년 동안은 안전할
가능성
이 훨씬 높다는 점 때문이다.물론 우리가 소행성들을 지구에 재난을 초래할 대상으로만 여길 필요는 없다.이들 중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오기 때문에 (1백만 마일 정도로) 우리가 우주여행기술을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0년의 시간을 넘어 인사도 설명도 없이 서로를 확인한다.그때나 지금이나 나는 그 확인의
가능성
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마음을 주었던 사람끼리 그것도 '청춘예찬'의 모든 미덕을 가졌던 시절에 만난 소중한 사람끼리 정한 시간 약속된 장소에서 만난다면, 설혹 20년이 지났다 하더라도 어찌 서로를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주장했다. 그는 2차원의 시간 중 어느 하나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상은 각각 무수한
가능성
의 산물인데, 이것이 다양한 경로를 거쳐서 표면에 나타나며, 이때 사이트론적인 파면이 시공간에 형성되고, 이것이 고도의 민감한 어떤 뉴런에 의해서 지각된다는 모델을 제시했다.초감각지각은 시간과 ... ...
PC통신 확산의 밑거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말한다. 화상통신에 노력이야기의 가장 큰 특징은 아직 시험단계지만 화상통신의
가능성
을 열어가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PC통신이 기존 정보매체인 TV나 신문을 능가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화상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데이콤에서 현재 제공하는 천리안Ⅰ이 비디오텍스상에서 화상통신을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도움을 줄 수 있었을 것이다. 생물의 몸체가 커지면 다른 동물의 공격으로부터 살아남을
가능성
이 크기 때문에 생물의 크기 증가와 골격형성은 방어 목적에 따른 적응일 수 있다.연체동물이나 완족동물은 연약한 육질부를 석회질로 이뤄진 두 개의 조개껍질(貝穀, shell)이 감싸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 ...
80억달러 규모 초전도 가속기계획에 일본 참여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들은 와인버그교수가 지적한 바와 같이 SSC가 인류가 건설할 최후의 가속기가 될
가능성
이 크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 테라볼트 (1${0}^{12}$V)급 프로젝트에 일본이 빠질 수는 없지 않는가'라는 생각이 그들의 머리속을 맴돌았다. 그러나 자금을 내는 데는 고도의 정치적 결정이 필요하기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다. 앞으로도 당분간 '우주의 시작' '인류의 조상' 문제와 함께 영원한 테마로 남아있을
가능성
이 크다.공룡 멸종의 2백가지 시나리오지금까지의 생물체 중 가장 덩치 큰 공룡에는 수수께끼가 많다. 그중에서 최대의 수수께끼는 멸종하게 된 이유다. 공룡은 2억3천만년전부터 6천5백만년전까지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