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첨단 알루미늄과 플라스틱 합성 소재를 이용해 차량 중량을 가볍게 하는 것은 물론 차체
크기
를 아예 줄여버리는 방향이 모색되고 있다. 아울러 기존 휘발류보다 연비가 좋고 환경 오염이 적은 메탄올과 같은 새로운 연료를 개발해 사용하는 방안이 연구 중에 있다. 그러나 여전히 슈퍼카는 고가의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노란색과 파란색이 서로 유사해 보인다. 좀더 멀찍이 보면 노란색과 파란색 자국의
크기
가 작아져 색의 혼합이 발생한다. 그래서 실제로 칠하지 않은 녹색이 보이게 된다. 아주 가까이서 보거나 멀리서 보면 보색의 충돌을 경험할 수도 있다. 보는 거리에 따라 이런 변화무쌍함을 연출해내는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것으로 전망된다. 20세기초까지 배는 가장 핵심적인 장거리 교통수단이었다. 이 때문에
크기
, 속력 등을 경쟁하면서 눈부시게 발전했다. 그러나 비행기가 등장하면서 배는 장거리 여객수송에서 경쟁력을 완전히 잃게 됐다. 현재 여객을 수송하는 대부분의 배는 비행기가 취항하지 못하는 단거리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기술적 발전을 이뤄냈다. 현재 물체 인식기술은 각종 정보를 담은 손톱의 수백분의 일
크기
의 극소형 컴퓨터칩을 물체 안에 심어 이를 인식, 가공하는 단계까지 와있다.또한 공개 아키텍처에 기반한 기술적인 협력의 토대가 잡혔다. ‘티엔진’(T-engine)이라는 이 공개 아키텍처는 서로 이질적인 ... ...
인간 로봇 혼성 축구팀 창단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정했다. 세그웨이가 무게중심을 잡는 기술은 인체에 맞춰 고안됐기 때문에 이를 인간
크기
의 축구 로봇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다. 동적균형(Dynamic Balancing)이라는 이 방식은 로봇이 전진할 때는 물론, 경기 중 뒤로 밀려도 부드럽게 후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인간과 로봇 모두 같은 가속력과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합성고무로 제작되는 기구로 지상에서 가스를 채워 띄우면 고도가 높아지면서
크기
가 원래보다 30-2백배 가량 늘어난다. 그러다가 재질이 더이상 버티지 못하는 고도에 다다르면 터져버린다.다른 종류는 제로압력(zero-pressure) 기구다. 폴리에틸렌 재질로 만들고 기구의 상층부에 헬륨가스를 일부 ... ...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안테나를 접은 상태로 발사체에 싣는다. 펼치면 전체 부피가 커지므로 한정된
크기
의 발사체에 싣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들이 우주공간에 올라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하우셋-1은 태양전지판이 펼쳐지는 과정을 상세히 연구할 예정이다. 펼치기에 실패할 확률을 줄이기 ... ...
미래 개인 교통수단으로 각광받는 세그웨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활발하게 진행중이다.현재 인간 조종없이 스스로 문을 열고 장애물을 피하며 축구공
크기
의 작은 물체를 추적할 수 있다. 또 외부 열을 이용해 동력을 생산할 수 있는 스털링 엔진을 장착한 제품도 조만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지난해 9월 미 소비재안전위원회로부터 리콜 명령을 받는 불운을 ... ...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보이는 장미성운의 시직경은 약 1.5˚로 보름달 직경의 3배 정도 된다. 이 성운의 실제
크기
는 약 55광년으로 지구에서 2천6백광년 떨어져 있다.장미성운은 겨울철 대삼각형의 중앙에 있는 외뿔소자리에 위치해 있다. 안타깝게도 이 별자리는 밝은 별이 없고 어두운 별들로 구성돼 있어 알아보기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거꾸로 할 경우 수학적으로 2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무한한 과거에 우주의
크기
가 0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0에 가까이 수축했다가 다시 팽창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것. 시간의 기원 유무는 여전히 오리무중인 것이다.한편 이형목 교수는 “우주의 팽창이 계속되고 시간이 영원하다면 우주는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