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관측하기도 했다.이후 갈릴레오는 2002년 11월 이전보다 목성에 더 가까이 가며 이오
크기
의 10분의 1보다 더 작은 위성 아말테아를 탐사하고 목성의 고리와 가장 안쪽의 자기권을 조사했다. 2003년 9월에는 목성의 대기에 정면 충돌하며 마지막 미션을 마쳤다. 탐사선의 연료가 다됐기 때문에 훗날 통제 ... ...
채워지지 않는 전설의 술잔 만들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클립을 띄워도 왜 넘치지 않을까?철로 만들어진 클립을 떨어뜨리면 밀도가 물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물에 가라앉는다. 그러나 수평으로 가만히 놓으면 수면에 뜬다. 물분자들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인 응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릇에 가득 찬 물위에 클립을 띄워도 물분자끼리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세웠다. 플랭크 탐사선이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하면 지금보다 더 정확한 우주의 형태와
크기
를 추측해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플랭크 탐사선은 특히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12면체 우주론의 사실 여부를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탐사결과 이 이론을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증거가 ... ...
하늘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솜브레로는 처녀자리 방향으로 2천8백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은하다.
크기
가 5만광년인 이 은하는 우리은하보다 8배나 무겁다. 질량은 태양 8천억개와 맞먹는다. 왠지 페르세포네가 쓰기에는 너무 커다란 모자란 생각이 든다.어째서 밀짚모자 모양일까. 솜브레로의 정체는 바람개비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멀리 떨어진 산속이라면 M33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 은하는 상당히
크기
때문에 쌍안경의 배율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쌍안경의 구경이 크고 배율이 낮을수록 더 잘 보인다. 쌍안경에서는 희뿌옇고 아주 어두운 구름같은 존재로 나타난다. 은하의 나선팔을 보기 어렵지만 이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상질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수십μm
크기
의 높이 차이를 재생시켜야 한다. 또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해볼 때 촉감재생장치는 부피가 작아야 하고 장갑 같은 외부 장치가 없어야 한다.최근 미국 버팔로대에서는 자신의 손에서 느낀 딱딱하거나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보폭과 최고 스피드에 도달했을 때의 보폭에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보폭의
크기
는 비슷비슷할 겁니다. 반면 넓이뛰기는 도움닫기를 할 때의 보폭과 점프를 할 때의 보폭이 매우 다릅니다. 그야말로 점프를 해야 하니까요. 두분은 마치 육상 종목에 넓이뛰기만 있다고 자꾸 우기시는 것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한다 일반적으로 소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커진다 특히 유기고분자 화합물은 소성이
크기
때문에 소성적, 즉 플라스틱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소성에 반대되는 성질이 변형한 후 힘을 제거하면 원래대로 되돌아오는 탄성이다심장에 양분,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혈전이 생기거나 경화되어 ... ...
세포막의 출입구, 물·이온 통로 밝혀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벽에는 산소 원자들이 있어 칼륨 이온이 딱 맞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돼 있다. 반면에
크기
가 작은 나트륨 이온은 이들 산소 원자에 딱 맞게 어울리지 못해 통과할 수 없다.이온들이 통과하기 위해서는 이온통로의 문이 열려야 한다. 매키넌은 이온통로의 아래 부위에 있는 문이 어떻게 열리는가를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부분과 소수성 부분에 의해 수용액 안에서 자발적으로 1백-2백nm(나노미터, 1nm는 10-9m)
크기
의 마이셀을 형성한다. 친수성 부분이 바깥을 둘러싸고 있는 마이셀은 실크단백질이 높은 농도로 수용액에 녹아있을 수 있는 비결이다. 농도가 높아지면 마이셀은 서로 뭉쳐 약 1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6m)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