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채워지지 않는 전설의 술잔 만들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클립을 띄워도 왜 넘치지 않을까?철로 만들어진 클립을 떨어뜨리면 밀도가 물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물에 가라앉는다. 그러나 수평으로 가만히 놓으면 수면에 뜬다. 물분자들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인 응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릇에 가득 찬 물위에 클립을 띄워도 물분자끼리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세웠다. 플랭크 탐사선이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하면 지금보다 더 정확한 우주의 형태와
크기
를 추측해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플랭크 탐사선은 특히 이번 분석 결과를 토대로 12면체 우주론의 사실 여부를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탐사결과 이 이론을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증거가 ... ...
하늘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솜브레로는 처녀자리 방향으로 2천8백만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 은하다.
크기
가 5만광년인 이 은하는 우리은하보다 8배나 무겁다. 질량은 태양 8천억개와 맞먹는다. 왠지 페르세포네가 쓰기에는 너무 커다란 모자란 생각이 든다.어째서 밀짚모자 모양일까. 솜브레로의 정체는 바람개비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멀리 떨어진 산속이라면 M33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 은하는 상당히
크기
때문에 쌍안경의 배율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쌍안경의 구경이 크고 배율이 낮을수록 더 잘 보인다. 쌍안경에서는 희뿌옇고 아주 어두운 구름같은 존재로 나타난다. 은하의 나선팔을 보기 어렵지만 이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이 역시 소유즈보다 더 크다. 자체 추진을 위해 달려있는 태양전지판은 전체가 24m2의
크기
로 0.87KW의 발전을 하는데, 소유즈와 달리 최대한 효율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다. 중심축선상에는 로켓엔진이 있어 회전(Roll)과 도킹을 위한 기동이 가능하다.선저우를 발사한 발사체는 창정(CZ)-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보폭과 최고 스피드에 도달했을 때의 보폭에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보폭의
크기
는 비슷비슷할 겁니다. 반면 넓이뛰기는 도움닫기를 할 때의 보폭과 점프를 할 때의 보폭이 매우 다릅니다. 그야말로 점프를 해야 하니까요. 두분은 마치 육상 종목에 넓이뛰기만 있다고 자꾸 우기시는 것 ... ...
바람난 제주 돌담 태풍을 막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위한 삶의 지혜가 가득 숨겨져 있다.자연석으로 무공해 담쌓기육지의 담쌓기는 일정한
크기
의 돌 또는 기와와 흙, 짚 등을 사용한다. 일정한 간격으로 돌이나 기와를 쌓고 그 위를 짚을 섞은 흙으로 채운 후 다시 돌을 쌓는 방식이다. 짚을 섞은 흙은 일종의 접착제이면서 담을 구성하는 주요 재료가 ... ...
세포막의 출입구, 물·이온 통로 밝혀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벽에는 산소 원자들이 있어 칼륨 이온이 딱 맞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돼 있다. 반면에
크기
가 작은 나트륨 이온은 이들 산소 원자에 딱 맞게 어울리지 못해 통과할 수 없다.이온들이 통과하기 위해서는 이온통로의 문이 열려야 한다. 매키넌은 이온통로의 아래 부위에 있는 문이 어떻게 열리는가를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말한다. 성층권은 공기밀도가 지상에 비해 매우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행선의
크기
는 매우 커진다. 실제 1t 정도의 실험 장비를 싣고 성층권으로 올라가려면 길이가 최소 2백m 이상, 총 중량은 20-30t은 나가야 한다.때문에 비행선 개발에는 저밀도 고공 운용을 고려한 첨단 설계 기술들이 적용된다. ... ...
눈의 천적 자외선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강한 빛 보고 눈 아프면 각막염눈은 강한 햇빛을 받으면 반사적으로 감기거나 동공의
크기
를 줄임으로써 흡수되는 자외선의 양을 줄인다. 또한 눈의 가장 앞쪽 투명한 막인 각막은 자외선의 대부분을 흡수한다. 따라서 수정체나 망막과 같이 눈 안쪽에 있는 기관은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받는다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