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멋진 뿔을 자랑하는 캐나다 큰뿔양이 강력한 천적을 만나 고생하고 있다. 이들의 천적은 다름 아닌 인간.영국 셰필드대 데이비드 콜트먼과 그의 동 ...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6년이래 캐나다 정부는 다자란 수컷의 사냥을 금지했지만 뿔의
크기
가 회복될 조짐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 ...
미인 앞에선 셈 못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2만원을 줄까, 아니면 일주일뒤 5만원을 줄까?”라고 묻는다고 생각해보자. 액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성적으로는 당연히 후자를 선택할 것이다. 그런데 남성의 경우 아름다운 여성의 얼굴을 본 후에는 이렇게 셈하는 능력이 망가진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런던왕립학회회보’ 최근호에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중계국의 중계를 통해 간접 수신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위성안테나는 휴대하기엔 너무
크기
때문에 직접 수신 방식은 아마도 차량이나 가정에서 채택될 확률이 크다. 때문에 일반인들은 지상 중계방식을 주로 이용하게 될 것이다.지상파 TV와 위성 TV간에 차이가 있듯 지상파 DMB와 위성 DMB 간에는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하겠다. 밝은 별들만으로 본 성단의 시직경은 천구상에서 약 1.5도 가량으로 보름달
크기
의 3배다. 이 작은 영역에 밝은 별 8개가 집중돼 있다.맨눈으로 이 성단을 확인한 사람이라면 이 성단의 특이한 모습에 궁금증이 더욱 커질 것이다. 그래서 쌍안경이나 천체망원경을 이 성단에 겨누고 싶어하게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않는다. 하루종일 입만 벌리면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 이유다. 새들마다 명관의
크기
가 달라 소리도 다양하다. 대체로 큰 새들이 명관도 크며 소리가 아름답지 못하다.새들은 먼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날아다니므로 멀리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멀리까지 들릴 수 있는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7번 염색체에 있는 ge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생긴 거대배아미는 일반 쌀에 비해 배아의
크기
가 3-5배다.고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신지는 지난해 안성의 고삼농협에 의뢰, 논 4만평에서 친환경 오리농법으로 재배한 거대배아미 80t을 첫수확해 올해 8월부터 시판하고 있다. (주)신지의 진중현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적기’(붉은 기운)다.문헌에 ‘흑자’로 표기된 태양 흑점의
크기
와 오로라의 기록을 토대로 분석해 본 결과, 흑점과 오로라가 모두 약 11년마다 반복되는 주기성을 보였다. 이는 문헌에 나타난 현상이 한반도 상공에서 관측된 오로라라는 사실의 과학적 근거가 된다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상당 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돼야 하구요. 만일 영장류 계통에서 갑자기 작은 두뇌
크기
가 유리한 상황으로 환경이 바뀌었다면, 그런 환경 변화에서 진화는 진보적으로 진행될 수 없습니다.굴드(G팀): 그 보십쇼. 교수님도 진화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보일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계시지 ... ...
한국영장류연구소 출범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다. 유전자의 98.4%를 침팬지와 공유하고 있으며 몸의
크기
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뇌가 크고 두발로 걷을 수 있게끔 골격이 변한 대형유인원이다.선진국에서는 몇십년 전부터 영장류학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영장류를 야생과 가장 유사한 환경 속에 두고 연구할 수 있는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뽑아낸 뒤 공기 중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얻는 전기분해 개념이다. 환경 오염이 없고
크기
도 작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휴대폰을 비롯해 MP3플레이어, 노트북 등 IT용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하기도 쉽다.얼마전 한 발표에 따르면 2005년에는 한번의 연료 주입으로 40시간 가량 계속해서 사용할 ... ...
이전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