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코로나19 변종 초강력 전염성 첫 연구한 재미 최혜련 교수
연합뉴스
l
2020.06.16
매년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코로나19는 변이가 많지 않고, 특히 전염성이 강한
돌연변이
는 D614G다. 변이전 바이러스를 잡는 백신이 이 D614G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다. 실제로 코로나19 항체가 생긴 사람들의 피를 구해 변이전 바이러스와 D614G 바이러스에 대해 실험했더니 거의 비슷한 결과를 ... ...
코로나에 집중하는 사이…가난한 나라들에는 홍역ㆍ콜레라 창궐
연합뉴스
l
2020.06.15
방글라데시 등에서는 콜레라가 유행하고 있다.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 바이러스
돌연변이
도 최근 30개가 넘는 국가에서 발병했다. 올해 코로나19 때문에 전 세계에서 홍역 예방 접종 기회를 놓친 어린아이들 규모는 1억7천800만명에 달한다는 게 홍역·풍진예방파트너십(Measles & Rubella Initiative ... ...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력 10배로 커졌다"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사전 공개한 또다른 연구에 따르면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
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돌연변이
로 인해 전세계 코로나19 확산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봤다. ... ...
불치의 루게릭병, 변이 유전자서 치료 실마리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6.11
이 경로를 고장 내는 이유는 생쥐 실험에서 윤곽을 드러냈다. UBQLN2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긴 생쥐는 특정 단백질(ATP6v1g1) 수위가 낮아졌다. 이 단백질은 세포의 노폐물 용기를 산성화하는 펌프의 핵심 부품인데, 세포의 노폐물을 잘게 부숴 처리하려면 이 과정이 꼭 필요하다. 몬테이로 ... ...
[의학게시판] 새로운 종양조직변이부담 분석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종양조직변이부담은 암세포
돌연변이
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따지는 분석법이다. 암세포
돌연변이
가 많아지면 암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새로운 항원이 더 많이 만들어지는 성질을 가졌다. 이런 성질을 이용해 면역항암제 바이오마커로 쓸 수 있으나 종양조직변이부담 분석법이 환자마다 동일하지 ... ...
암의 원인 '
돌연변이
'의 다양성 결정하는 요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종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가트너 부연구단장은 “
돌연변이
의 종류를 추적하면 역으로 암을 일으킨 물질이 무엇이며 손상된 DNA 복구 기능이 어떤 것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암 진단과 치료법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열성 변이 가진 '베토벤 생쥐', 크리스퍼 가위로 교정 성공
연합뉴스
l
2020.06.05
TMC 1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청력이 약해지다가 결국 완전히 잃게 된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
로 청력을 잃은 실험용 생쥐를 연구자들은 '베토벤 생쥐'라고 부른다. 귀가 머는 과정이 베토벤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류 교수팀은 4일 권위 있는 과학 저널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 ...
"코로나19 풍토병될 가능성 크다" 확산 6개월 동안 우리가 알게 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종종 발생한다. 새로운 숙주로 전파될 때도
돌연변이
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연변이
에 대한 우려는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바이러스 유전자 변이는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 메커니즘 자체를 바꾸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 과학자들은 코로나19 감염증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14만 명의 유전자 지도, 유전질병 잡는 해답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30
1만 2000여 명의 정보가 포함됐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지노마드를 활용해 점
돌연변이
와 같은 작은 변이뿐 아니라 염기서열 50~100개 정도로 긴 범위의 DNA가 바뀌는 구조 변이도 관찰했다. 질병과 관련한 유전자 기능 문제는 이런 긴 조각 전체가 떨어져 나가거나 중복 혹은 대체되는 구조 ... ...
"3억5천만년 전 데본기 대량멸종의 원인은 온난화와 오존 감소"
연합뉴스
l
2020.05.28
자외선 같은 해로운 태양복사가 지상에 더 많이 도달해 생명체를 죽이거나 치명적인
돌연변이
를 일으켰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Marshall, Lakin, Troth & Wallace-Johnso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들은 데본기 말 대량멸종 시기가 빙하기 말의 온난화와 맞아떨어진다며 기온 상승으로 대기중에 오존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