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성 가려움증, 이유 찾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그동안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밖에 치료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미국 솔크연구소의 마틴 굴딩 교수가 척수에서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중간뉴런의 단백질인 ‘NPY’가 만성 가려움증과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쥐 실험을 통해 알아냈다.굴딩 교수는 쥐의 중간뉴런에서 NPY를 제거한 ... ...
- ‘멀티플레이어’ 뇌의 선택과 집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일을 한꺼번에 처리해야 할 때 우리 뇌는 중요한 것을 선택하고 집중하는 전략을 취한다. 미국 뉴욕대 의대 마이클 할라사 교수는 뇌의 어느 부분이 선택과 집중 전략을 조절하는지 알아냈다. 할라사 교수는 먼저 정상 쥐가 여러 가지 자극 중 어떤 자극을 선택하고 어떤 자극에 집중하는지 알아봤다. ... ...
- 종교 없는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가 더 관대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자란 어린이보다 덜 이타적이며 타인의 잘못을 벌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카고대 심리학과 진 데세티 교수팀은 캐나다, 중국, 요르단, 터키, 미국, 남아공 등 6개 나라에서 5~12세 어린이 1170명을 대상으로 이타심과 징벌의 관계에 대해 실험했다. 실험대상자의 23.9%(280명)는 ... ...
- 싸우고 화해하고… ‘양은 냄비’ 커플이 잘 깨진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커플이 관계를 오래 유지하고, 결혼에 골인할 가능성이 높을까? 미국 일리노이대 인간발달및가족학과 브라이언 오골스키 교수팀은 쉽게 끓고 쉽게 식는 양은 냄비처럼 싸우고 친밀해지기를 반복하는 커플보다는 작은 갈등을 놓고 ‘티격태격하는 커플’이 오래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 실험실에 찾아온 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색을 칠했다.➌ 꽃보다 세포세상 어디에서도 구할 수 없는 특별한 크리스마스 장식품. 미국 피츠버그대 세포생물학과의 도나 스톨즈 교수가 2011년 포유류의 단백질과 세포기관을 이용해 만든 작품. ➍ 세균도 ‘메리 크리스마스’!박테리아도 크리스마스를 열렬히 반긴다. 영국 워릭대자연과학부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에탄올은 처음이다.프랑스 파리 천문대 산하 우주연구 및 천체 물리 계측 연구소(LESIA)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러브조이 혜성(학명 C/2014 Q2)’의 대기를 분석했다. 러브조이는 작년 8월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 ...
- 3D 프린터로 만든 제품, 독성 주의!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세상에 못 만드는 것이 없는 기술로 각광받던 3D 프린팅 기술이 안전성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 UC리버사이드 윌리엄 그로버 교수팀은 STL(stereolithography) 방식과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제작한 물건에서 독성이 검출됐다고 ‘환경 과학과 기술’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빛을 받으면 고체로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현재의 로봇 기술을 넘어선다.스타워즈에서 영감을 받아 실제로 만든 로봇도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항공우주학과 데이비드 밀러 교수는 지난 1999년 학생들에게 스타워즈 5편의 한 장면을 보여주면서 “이런 로봇을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다. 그가 보여준 로봇은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작고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가장 낮은 바닥상태에 다닥다닥 빈틈없이 붙어있게 된다. 이 같은 전자쌍을 처음 제안한 미국의 물리학자 리언 쿠퍼의 이름을 따 ‘쿠퍼짝’이라고 부른다. 이제 초전도현상이 눈에 보이는 거시적인 양자 현상인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엄청나게 많은 전자들이 쿠퍼짝을 이뤄 하나같이 바닥상태에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개방형 소프트웨어다. 아무나 자유롭게 내려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미국의 키트웨어(Kitware)라는 회사에서 1993년 처음 공개했는데, 누구든 소스코드를 수정하거나 덧붙여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 현재 700개 이상의 파생 소프트웨어가 있으며 문 교수팀의 ... ...
이전5205215225235245255265275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