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중 진짜 우주 사진은 무엇일까.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9월 22일 홈페이지를 통해 다음과 같은 6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3장은 진짜 우주를 촬영한 사진이고 3장은 우주비행사의 피부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이다.NASA는 2015년 연중 과제 중 하나로 우주에서 생활하는 우주비행사의 미생물이 1년 동안 어떻게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연구진은 9월 23일, 지오솔버가 공식 SAT 시험에서 49%, 연습 문제에선 61%의 정답률을 보여
미국
11학년(고등학교 2학년) 정도의 성적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추후 과학과목까지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한국에는 수능을 준비하는 로봇이 아직 없다. 대신 전문 인력으로 거듭나기 위한 로봇은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분비선의 흔적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아무도 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2009년
미국
노스이스턴대의 엔푸 공 박사팀은 푸들만한 육식공룡 시노르니토사우루스에게서 독니와 독을 저장하는 독샘의 흔적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중국에서 발견된 이 작은 육식공룡에게는 기다란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이스탄불 의대에 진학한 그는 생화학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1973년 생화학자가 되기 위해
미국
텍사스대 클로드 루퍼트 교수의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박사과정 초기에는 실험이 잘 풀리지 않았다. 산자르 교수는 “동료 중 한 명은 나에게 터키로 돌아가 의사를 하는 게 낫겠다며 면박을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각도를 측정해 정량화했다.2007년에는 한국계
미국
인 과학자인 루크 리(한국이름 이평세)
미국
UC 버클리 교수팀이 ‘리버(간) 온어 칩(liver on a chip)’을 발표했다. 리 교수는 랩 온어 칩 연구를 초창기부터 이끌어 온 이 분야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그는 칩 위에 세포를 키울 때 단순히 단백질만넣을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400년 만에 초신성 폭발을 관측했을 당시 김제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는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었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주인공들과 같은 중성미자(뉴트리노)를 연구하는 입자물리학자인 그는 SN1987A 초신성에서 방출된 중성미자 연구를 준비하기 위해 도서관을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그래서 과학자들은 인위적으로 빛을 멈추기로 마음먹었다.투명한 빛은 느리다1999년
미국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 공동연구진은 파장이 780nm인 근적외선 레이저를 매질에 통과시켜 초속 17m까지 늦추는 데 성공했다. 진공에서 잰 속도보다 천만 배나 느렸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빛을 ‘느린 빛(slow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다른 곳에 투자하면 생존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슈나이더 교수와 공동연구를 한 송경한
미국
스탠퍼드대 미생물면역학과 박사는 “숙주의 건강은 저항과 관용이라는 두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라고 말했다.에리스와 슈나이더 교수는 관용을 잘 이해하면 새로운 약을 개발할 수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Microbiome)’ 5월 12일자에는 마치 셜록을 흉내 낸 것 같은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사이먼 렉스 박사팀이 신발 밑창과 휴대전화에 붙어 있는 미생물을 분석해서 같은 장소에 방문했던 사람들을 가려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서 열린 세 개의 학회 참가자 9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아직 명확하게 증명되지 않은 가설이랍니다.Q 초자연적인 현상도 있다는데….지난해 1월
미국
지진학회지에는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됐어요.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나타나는 빛인 ‘지진광’의 원리를 설명했거든요. 지진광은 큰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밝은 빛이 짧은 시간 동안 나타나는 현상을 ... ...
이전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