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끼고 지키는 게 힘!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돌아간 ‘수원청개구리’가 대표적인 예지요. 수원청개구리는 멸종위기종 1급으로, 전국에 약 800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아요. 수원청개구리를 살리기 위해서 의 ‘지구사랑탐사대’,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팀, 환경부 등 국가기관이 힘을 합쳐 복원사업을 진행했어요.이 덕분에 ... ...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와트니의 생존 비결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영화는 못 봤지만 소설책을 읽었어요. 전 마크 와트니가 뛰어난 과학 지식을 가졌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하지만 그가 과학 지식을 생존에 적용하는 법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또 그의 사고방식도 중요한 역할을 ...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힘들어질 거랍니다.그리고 난 지금 살고 있는 바다가 좋아요. 이곳을 떠날 생각이 전혀 없답니다. 그러니 지구정복 짝꿍은 다른 곳에 가서 알아보는 게 좋겠네요. 영하에도 얼지 않는 물이 있다?!‘물은 0℃에서 얼고 100℃에서 끓는다’는 건 우리가 공식처럼 외우고 있는 사실이죠. 그런데 최근 ... ...
- INTRO. 마션 화성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이름은 마크 와트니. *6화성일 전, 내가 속한 아레스 3탐사대가 화성에 도착했다. 아레스 3 탐사대는 한 달짜리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었지만, 갑작스러운 모래폭풍에 휘말려 대원들은 급히 화성을 탈출했다. 그 와중에 나는 사고로 화성에 홀로 남겨졌다. 과연 내가 화성에서 혼자 살아남을 수 있을까 ...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스르륵~ 표면장력으로 가는 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지난 대결에서 우승한 뒤 한껏 승리감에 빠져 있는 섭섭박사님! 이번 대결도 꼭 이기고야 말겠다고 하시네요. 하지만 이번엔 좀처럼 쉽지 않을 걸요? 도전자들이 표면장력에 대해 미 ... 더욱더 기뻐했답니다. 다음에는 또 어떤 짜릿한 명승부가 펼쳐질까요? 친구들의 도전을 기다릴게요~ ... ...
- 순간포착 세렝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속 세렝게티 사진들을 순간포착 세렝게티 웹사이트(www.snapshotserengeti.org)로 옮기죠.그러면 전세계 사람들은 이곳에 올라온 사진을보고 어떤 동물이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지 분류한답니다. 그동안 시민들이 분류한 데이터는 동물 수에서는 90%, 동물 종 분류에서는 97%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완전히 사라진 걸 확인했지요. 또 다른 한 종류의 슈퍼 박테리아는 60%의 쥐에서 완전히 사라 졌고, 나머지 40%의 쥐에서는 1000분의 1 정도로 줄 어들어 있었답니다. 결국 건강한 장 속 세균이 슈퍼 박테리아를 사라지게 만든 거예요. 연구팀은 “앞으로 슈퍼 박테리아를 물리친 건강한 장 속 세균이 ... ...
- 종이나라 ‘ 오려라 공주’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어떻게 되는지 말해 주세요. 참고로 저는 여자 형제와 남자 형제의 수가 같아요.”“전 여동생이에요. 저의 남자 형제는 여자 자매 수의 두 배예요.”미션3 오려라 공주를 구하라!오려라 공주의 동생들이 알려 준 탑으로 가자, 탑의 맨 꼭대기에서 오려라 공주가 다찌저 왕자에게 붙잡힌 채 애타게 ... ...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구멍이 있어서 회전하고 싶을 땐 반대쪽 구멍으로 공기를 내보내 꼬리를 구부리며 회전시키지요. 그 결과 물속에서 0.1초 만에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답니다.사람처럼 달리는 로봇휴머노이드(Humanoid)란 인간의 형태를 한 로봇을 말해요. 머리와 몸통, 팔, 다리의 구조를 완벽하게 갖고 있고, 걸음걸이나 ...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유전자를 갖고 있어요. 하지만 사람과 개미를 포함한 사회성 곤충은 이런 이기적 유전자에도 불구하고 이타주의를 통해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고 있지요. 이것이 바로 이들 사회가 지구상에 번성하고 있는 이유랍니다.※ 이번 호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동물은 왜’를 사랑해 주셔서 ... ...
이전5215225235245255265275285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