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캐릭터들의 지구 침공! 픽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최소 단위인 점을 뜻한다.3D로 화려하게 재탄생한 게임 캐릭터들과 게임 고수 3인방의
전
쟁은 과연 누구의 승리로 막을 내릴까요? 7월 16일 개봉할 영화 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퇴적지형을 삼각주라고 불러요. 선상지를 지난 물길은 계속 흐르다가 바다에 닿기
전
에 여러 갈래의 작은 강으로 갈라지고 다시 합쳐져요. 그 결과 삼각주가 만들어지지요. 하늘에서 보면 삼각형 또는 새의 발 모양처럼 생겼답니다.삼각주는 주변에 물이 계속해서 흐르고 땅이 평평하기 때문에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가래 속에 있는 유
전
자를 많이 복제하지요. 만약 그 안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정 유
전
자가 발견되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게 된답니다.자, 이제 바이러스에 대해 제대로 알았지? 바이러스들이 많은 사람들을 아프게 하고 있어서 정말 미안해. 하지만 친구들이 평소에 건강한 생활을 한다면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여태것 점점 야생에서 생존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진화해 왔어요. 과학자들은 판다가 완
전
히 다른 동물로 탈바꿈하지 않는 이상 자연 생존은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보고 있어요.우적우적우적…. 알고 보니 판다라는 동물이 정말 특이하지? 그러니까 내가 하루종일 대나무만 먹고 있어도 이해해 줘. ... ...
지사탐,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전
문가 분들이 답해 주실 거예요. 우리의 탐사를 통해 꿀벌이 계속 살아갈 수 있는 터
전
을 만들어 봐요.귀화식물은 꼭 다시 만나 주세요!올해 처음 시작된 귀화식물 탐사에 대한 열기가 뜨거워요. 벌써 1727건의 탐사기록이 올라왔어요! 지난 5월 국립수목원에서 열린 귀화식물 현장교육 역시 신청 30분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최근에 각국 정부가 더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테러 가담자들에 대한 교화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10여 개의 센터가 테러가담자들을 교화시키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엇갈리지만 중동언론연구소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한 시설은 교화율이 80%가 넘는다.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일어나지 않았다. 이처럼 기술은 예상을 뒤엎는 일들을 해낼 수 있다.하지만 기술에 앞서
전
문가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해결방안은 ‘에너지 절약’이다. 소비하는 에너지량 자체를 우선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윤순진 교수는 “우리는 에너지 낭비가 구조화된 삶을 살고 있다”며 “독일은 ... ...
[Editor’s note] 끝과 시작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기제’의 상태 대신 ‘미제’의 상태로 맞겠다. 30주년 기념호가 될 2016년 1월호를,
전
에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판형, 새로운 디자인, 새로운 내용으로 채운다.이번 호는 30년 판형의 마지막 호가 될 것이다. 거창하게 말하면, 한 시대의 끝이다. 하지만 미제의 세계에서, 끝은 시작이다. 그 끝과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연료
전
지 발
전
소 같은 기술들도 현재 실제로 존재하거나 기술 개발 중에 있다. 40년
전
부터 조지 루카스 감독이 상상한 기술 가운데 많은 부분이 실현된 것이다. 어쩌면 그에게도 제다이처럼 미래를 내다보는 포스가 있었는지 모르겠다.어떤가. 이정도면 여러분은 스타워즈 속 과학기술핵심 키워드에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일반인들이 직접 잡거나 만지면 안 된답니다. 그러나 멀리서 사진기나 휴대
전
화로 동물을 배경으로 셀카를 찍을 순 있어요.앞으로도 친구들이 오늘처럼 남극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네요. 다시 만날 때까지 안녕~!남극의 비밀을 파헤치는 극지연구소남극이나 북극에 ... ...
이전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