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형
조화
상칭
d라이브러리
"
대칭
"(으)로 총 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운동”이라고 말한다. ‘탁탁’ 시끄러운 경주 롱트랙 스케이팅둘레가 400m인 타원형
대칭
구조의 트랙을 도는 경기로 우리나라에서는 ‘스피드스케이팅’이라고 알려져 있다. 롱트랙 스케이팅은 상대를 견제하는 전술보다는 정확한 자세와 강한 스퍼트가 중요하다. 각 부위의 관절을 적절한 ... ...
가장 아름다운 수학적 구조가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성공했습니다. ‘E8’은 1800년대 후반 수학자들이 이론적으로 생각해 낸 248차원의 복잡한
대칭
구조입니다. 이후 ‘E8’은 1970년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입자와 힘을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하는 초끈이론과 관련돼 주목을 받았습니다.연구팀은 코발트와 니오븀으로 이뤄진 결정을 절대 영도보다 0.04℃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끝나며, 그 모양이
대칭
을 이룬 것입니다. 앞뒤 모양이 똑같고 정확히 좌우 또는 상하
대칭
인 매듭의 특징은 도형과 연결되죠. 작은 원을 삼각형이 둘러싸면 전체적으로 마름모 모양의 매듭도 만들 수 있고요. 그럼 매듭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매듭은 온몸에서 비례를 느낄 수 있어요. 매듭은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이어도 쌍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쌍곡선의 두 곡선은 스스로
대칭
일 뿐만 아니라 서로
대칭
이기도 합니다.모험가들이 대포알의 궤적으로 놓고 고민하는 이유는 포물선이나 쌍곡선이 모두 무한히 뻗어나가기 때문입니다. 대포알이 끝도 없이 뻗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걱정하는 것이죠.달 주위에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물론 열쇠는 서로 가지고 있어야겠지. 암호화하는 열쇠와 푸는 열쇠가 같다는 건 서로
대칭
인 관계를 의미해. 암호화한 방법을 반대로 하면 암호를 풀 수 있는 거지. 비밀 열쇠 암호의 약점은 여러 명이 암호를 공유해야 할 때야. 열쇠가 많아지면 보안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아지거든.알아도 못 ... ...
세계적 여자 육상선수 세메냐, 결국 남자?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진단할 때는 먼저 생식샘과 음경, 낭의 발육 정도를 살피는 신체검사부터 한다. 음낭이 비
대칭
적이면 주머니가 크고 색깔이 진한 쪽에 고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정밀한 진단이 필요하다면 염색체 검사와 생화학 및 내분비학 검사가 이뤄진다.골반 내에 자궁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초음파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도형은 그 모양에서 완벽함과 아름다움을 느낀다. 이런 도형은 드물어 특별히 선
대칭
도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초등학교 때는 직선이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가를 따지지 않는다. 중학교에서는 그 직선을 ‘식’으로 표현하고, 직선을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옮기느냐에 따라 이 직선이 지나는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작가의 ‘미술관에서 만난 수학’이다.미술관을 찾은 한 가족이 명화 속에서 수, 도형,
대칭
등 다양한 수학 개념을 접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책을 한장 한장 넘길 때마다 칸딘스키, 피카소 등의 유명한 화가가 그린 명화가 등장하며 그 안에서 수학 개념을 찾을 수 있다. 수학 개념과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의 화석으로 길이가 330mm, 폭이 110mm였다. 익룡의 앞발자국은 일반적으로 세 발가락이 비
대칭
형으로 찍혀 있다.익룡은 하늘을 날았던 최초의 척추동물이다. 익룡은 하늘을 나는 공룡이 아니라 익룡목(目)에 속하는 중생대의 또 다른 주인공이다. 공룡의 친구라고 할 수 있으나, 공룡은 아니라는 점이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가운데 이상소두증에 걸린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연구자들은 LB1 두개골에서 나타나는 비
대칭
과 이상 발달이 이상소두증에서 보이는 소견과 비슷하다고 결론지었다.폴크 교수팀은 이에 대해 즉각 반격에 나섰다. 이들은 두개골 내부의 형태를 3차원 CT(컴퓨터단층촬영)로 재구성해 LB1의 형태가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