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뉴스] 공기 중 보이지 않는 통로로 강력한 레이저 전송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결과, 레이저는 약 45m 거리를 뻗어나갔다. 레이저의 말단 에너지는 출력 에너지의 약 20%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아직 이론적 한계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향후 더 먼 곳까지 빛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하워드 밀치버그 메릴랜드대 물리학과 교수는 “새로운 레이저를 이용해 ...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증발이 가속화되면 물이 필요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 가뭄에 취약한 지역의 건조 상태를 더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2년 유럽과 중국에는 극심한 폭염 끝에 ‘돌발 가뭄’이 닥쳤다. 돌발 가뭄이란 따뜻하고 건조한 공기가 토양과 내수 시스템에서 물을 빠르게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하트 모양 은하의 러브 스토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우주가 사라질 때까지 영원한 사랑을 나누는 두 은하를 롤모델 삼아서 우주적인 사랑을 약속하는 최고의 이벤트가 될 것이다. ※ 지웅배 고양이와 우주를 사랑한다. 은하들이 사랑을 나누고 상호작용하는 세계를 연구한다. 우주를 가이드하며 현실 세계에서의 은하철도 999 차장을 꿈꾼다.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300K)을 납이 녹는 온도 600K(327℃)로 나눈 값인 0.5이다. 녹는 온도가 1811K(1538℃)인 철(Fe)은 약 905K(632.5℃) 환경에 뒀을 때 열역학적 상대온도가 0.5다. 이때의 철은 잘 변형된다. 상온의 납이 잘 구부러지는 이유는 가열한 철처럼 열역학적 상대온도가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이야기의 주인공인 ...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결정됐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자 시절부터 사천에 우주항공청을 세우겠다는 공약을 내걸어왔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항공우주관련 사업체가 밀집해 있다는 게 그 이유였다. 2022년 3월 3일, 당시 대선 후보자였던 윤 대통령은 사천에 방문해 “사천 일대에 항공우주산업의 거대한 생태계가 ...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수백 조 자리까지 필요한 경우는 별로 없어요. 정밀한 계산에서도 약 40~50자리 정도가 충분하다고 알려졌지요. 원주율 계산은 어디까지나 과정과 도전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에 정말 조그만한 오류라도 생기면 끝까지 계산할 수 없어요. 그래서 끝까지 ... ...
- [전지적 독자 위원회] 1기 전지적 독자위원회가 남긴 ‘다채로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전지적 독자위원회(전독위) 1기의 활동이 2월을 끝으로 모두 마무리되었습니다.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독자위원 200명이 과학동아 제작에 함께 했습니 ... 시작합니다. 앞으로의 6개월도 전독위 2기와 다채로운 과학동아를 만들어갈 것을 과학동아 독자들께 약속드립니다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표를 가장 많이 받은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오는 2월 20일에 2차 투표를 진행한다. 만약 선정이 된다면 4월 마지막 주에 투표 결과가 공개된다. 인류세의 국제표준층서구역이 선정된다고 바로 인류세가 새로운 지질시대로 공인받는 것은 아니다. 인류세가 공식적인 지질시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❸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확실히 동물원에 있으리라고는 생각하기 어려운 장소입니다. 유 연구원은 “동물 약 300 종의 유전물질을 보관하고 있다”며 “동물원에 없지만, 이곳 유전자 은행에는 있는 동물도 수 종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 그럼 냉장고에 코끼리를 넣어볼 차례입니다(고백하자면, 사실 냉장고에 들어있던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벨키르 캐나다 맥마스터대 연구팀은 정보 통신 산업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07년의 약 1~1.6%에서 2040년까지 14%를 초과하는 양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doi: 10.1016/j.jclepro.2017.12.239 정 교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 연구는 아직 많지 않고, 관련 정책 수립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