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증발이 가속화되면 물이 필요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 가뭄에 취약한 지역의 건조 상태를 더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2년 유럽과 중국에는 극심한 폭염 끝에 ‘돌발 가뭄’이 닥쳤다. 돌발 가뭄이란 따뜻하고 건조한 공기가 토양과 내수 시스템에서 물을 빠르게 ...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2.5~3.7%에 달한다는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지목받는 항공업계의 배출량이 약 2.4%인데, 이 수치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가 항공업계 전체보다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셈이다 ... ...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발견되지 않았지만, 심프 패러다임은 현재까지의 실험 결과가 반증하지 않을 정도의 약한 연결고리로도 암흑물질에 관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심프의 두 번째 성질인 질량을 이용해서 말이죠. 현재 우주에 남은 암흑물질의 양을 설명하기 위해, 심프의 질량은 0.1GeV 정도일 것으로 ... ...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수백 조 자리까지 필요한 경우는 별로 없어요. 정밀한 계산에서도 약 40~50자리 정도가 충분하다고 알려졌지요. 원주율 계산은 어디까지나 과정과 도전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에 정말 조그만한 오류라도 생기면 끝까지 계산할 수 없어요. 그래서 끝까지 ...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전 대비 온도가 1.09℃ 상승했지만 우리나라는 지난 1912~1940년 대비 최근 30년 동안 약 1.6℃ 올라 상승 폭이 더 컸습니다. 작은 변화인 것 같지만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폭염, 한파, 호우, 가뭄 등의 기상 이변이 잦아지고 있으며, 온실가스를 이대로 배출하면 미래에는 더 자주, 더 강하게 기상 ... ...
-
- [이달의 뉴스] 지구 내핵 회전 멈췄다 기후변화에 영향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지진파의 경로는 조금씩 달라지고 있었고, 그는 이를 통해 내핵이 1회 자전하는 데 약 400년이 걸린다는 결론까지 냈다. 최근 송 교수는 이전 연구 후 기록된 지진파를 과거의 기록과 비교분석한 결과, 2009년 이후 지진파 경로가 변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내핵의 회전이 ...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표를 가장 많이 받은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오는 2월 20일에 2차 투표를 진행한다. 만약 선정이 된다면 4월 마지막 주에 투표 결과가 공개된다. 인류세의 국제표준층서구역이 선정된다고 바로 인류세가 새로운 지질시대로 공인받는 것은 아니다. 인류세가 공식적인 지질시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❸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확실히 동물원에 있으리라고는 생각하기 어려운 장소입니다. 유 연구원은 “동물 약 300 종의 유전물질을 보관하고 있다”며 “동물원에 없지만, 이곳 유전자 은행에는 있는 동물도 수 종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 그럼 냉장고에 코끼리를 넣어볼 차례입니다(고백하자면, 사실 냉장고에 들어있던 ... ...
-
- [기획] 암호화폐 벌면 기후변화 빨라지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반영해 차의 속도를 최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행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구상이다. ▲ 자율주행차량이 사용하는 라이다나 카메라 등의 센서가 고도 자율주행 AI와 만나게 되면 연산량도 크게 늘 수 있다. 벨로다인 라이다 사의 라이다 작동 모습 ... ...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동안 크기와 개체수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반면에 할테리아는 개체수가 이틀 만에 약 15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클로로바이러스의 개체수는 100분의 1로 줄었다. 존 드롱 네브래스카-링컨대 생물과학부 교수는 “바이러스에서 비롯된 먹이사슬 내 에너지 이동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봐야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