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해내려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일찍 오나 “벤처 회사 성공률이 보통 5% 정도라고 합니다. 적어 보이는 숫자지만, 만약 스무 개의 민간 회사가 핵융합 발전에 뛰어들었다면 그중 하나가 성공하는 거라고 볼 수 있어요.” 핵융합 에너지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언제쯤 가능할 것 같냐는 질문에 황 교수는 말을 골랐다. 황 교수는 “205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결과가 나와서 다행이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데이터는 어땠나요?시민 과학자들의 활약이 도드라지는 데이터였습니다. 생물 관측을 도심에서 하기 쉽지 않고, 관측을 해도 그 질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해 왔는데 이는 선입견이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우리 근처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다양한 58.7GW(기가와트)의 발전설비를 갖출 예정입니다. 이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국민 약 1800만 명이 사용하는 수준의 에너지 양입니다. 인하대학교 KIURI 연구단 조현석 연구교수는 “수소는 일반적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지만, 태양광 집열판(CSP)를 활용해 1500℃ 이상 환경에서는 촉매를 통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인류가 파악한 잠재적위험소행성은 약 2000여 개이며, 그 중에서도 크기가 1km보다 큰 것은 약 1000개 미만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스콧 셰퍼드 박사팀은 “앞으로 나머지의 소행성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스콧 셰퍼드 박사는 “이번에 발견된 2022 AP7이 2014년 이후 ... ...
- [DATA MATH]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소행성 ‘디디모스’의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 소행성으로, 지름은 170m이고 지구에서 약 1080만km 떨어져 있습니다. 궤도상 지구에 위협이 되는 대상은 아니지만, 크기와 위치를 고려해 실제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려는 위험한 상황을 대처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얻을 수 있어 표적으로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 국제우주정거장과 지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그 길이는 12,742km예요. 이 길이를 지구의 ‘지름’이라고 부르지요. 지구의 나이는 약 4,500,000,000살이고,약 8,000,000,000명의 사람이 살고 있어요. (2022년 기준) 용어 설명 공전★ 한 천체가 다른 천체의 주변을 일정한 간격으로 되풀이해서 도는 것을 말해요. 직선★ 꺾이거나 굽은 데 없이 곧게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질량 언급이 있습니다. 폴리페모스는 목성보다 약간 작고, 판도라의 질량은 지구의 약 70%라고요. 목성은 지구보다 300배 가량 무거우므로 판도라-폴리페모스 간 거리가 달-지구 간 거리와 유사하다면, 판도라가 받는 인력은 달이 받는 인력보다 200배 이상 클 겁니다. 판도라가 만유인력의 영향을 크게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그래핀 두께는 0.2㎚~0.35㎚(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 수준입니다. 신문지 한 장의 두께는 약 10만㎚ 정도 됩니다. 하지만 신문지를 두고 나노 소재 혹은 나노 물질이라 하지는 않습니다. 나노 소재가 되려면 길이 혹은 크기가 100㎚보다 작거나 얇아야 합니다. 100㎚보다 큰 물질은 나노가 아닌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분명한 건 현재 과학자들은 인간을 만들 필요나 의지가 전혀 없습니다). 이런 수많은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수십 년간 실제 생체가 아닌 실험대 위에서 인위적으로 행해지는 정교한 ‘체외배양(in vitro)’ 모델을 꾸준히 제안해왔습니다. 특정 환경이 주어졌을 때 여러 형태의 세포로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쓸 수 있는 기반 시설을 마련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식량은 물론 거주 시설, 수도, 의약품 등이 부족하면 인도주의적 위기가 닥칠 수도 있다. 나아가 늘어난 인구가 음식을 먹고 차를 타고 이동하면 앞으로 온실 가스를 더 많이 배출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아프리카의 출산율을 억제하는 것이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