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농도를 1로 기준했을 때 플랑크톤은 1백, 어류는 10만, 고래 및 새는 1천만이다. 바닷물이
조금
만 오염돼도 먹이연쇄의 정점에 위치한 새들은 오염물질을 다량 축적하게 돼 심각한 영향을 받는 것이다.우리 인류는 20세기에 들어와서 석탄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면서 중화학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사람들은 화장실 가까운 곳에서 일할 때에는 마음이 안정되고 소변을 절제할 수 있으나
조금
만 화장실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면 불안을 느끼고 자꾸 소변이 마렵고 또 참지 못하고 흘리기도 한다. 화장실 옆에서는 서너시간 소변을 참을 수 있으나 비슷한 시간동안 고속버스를 타고 어디에 갈 때에는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인간을 닮을 확률 0UFO현상에 있어서 또하나의 문제점은 여러 목격자들 진술에서 각각
조금
씩 다른 특징의 UFO가 묘사된다는 사실이다.UFO의 형태는 접시형때 뿐만 아니라 구형 타원형 원통형 계란형 원뿔형 사각형 물방울형 시가형 등 매우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비슷한 유형이라고해도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넣어 알을 낳는데, 산란 후에는 수놈이 곧 정자를 수공 주변에 뿌리게 된다.산란과정을
조금
더 상세히 보도록 하자. 산란기가 가까워 오면 암놈은 산란관이 길어지고 수놈은 온 몸이 무지개색을 띠는데, 이것을 혼인색(婚姻色)이라고 한다.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산란 적기가 되면 수놈들은 서로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정책수립과 연구현장에 있었던 체험과 생각이 장차 과학한국을 짊어질 청소년들에게
조금
이나마 도움을 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여 감히 몇가지 의견을 피력해 보고자 한다.아직 자신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결정하지 않은 청소년 중에는 자신의 미래상으로 뉴턴 아인슈타인 에디슨과 같은 훌륭한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태양을 둘러싸는 빛의 원형으로 보게될 것이다.그러나 이것은 불가능하다. 빛은 매우
조금
밖에 굴절되지 않기 때문에 초점이 맞춰지려면 수광년의 거리가 필요한 까닭이다. 이는 빛의 초점을 이루는 무거운 물체가 우리로부터 많고 많은 광년으로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며 그 빛을 발하는 ... ...
우주정거장에 재순환시스템 도입돼 우주에서 산소와 물을 자급자족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불순물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정수과정은 식수용과 대동소이하다.산소의 재활용법은
조금
더 간단하다. 공기로부터 수집된 이산화탄소는 연소실로 보내지는데, 여기서 이산화탄소는 완전히 연소된다. 이 과정에서 메탄과 물이 생성되는데 이 두 물질은 모두 유효하게 쓰인다. 메탄중 일부는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다.밝은 영역은 어두운 영역보다 온도가 낮다. 그래서 밝은 영역이 어두운 영역보다
조금
상층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온도의 차이로 부터 우리는 밝은 영역이 높은 압력을 가지고 상승하는 영역의 상층부이고, 어두운 영역은 낮은 압력을 가진 하강 영역의 상층부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대기의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괴롭다. 일반대학에 진학할 것인가, KAIST학사과정에 지원할 것인가. 다행히 KAIST시험이
조금
일찍 치러지므로 KAIST에 낙방하면 일반대학에 응시할 수 있다.그러나 이것은 '밑져도 본전'이 아니다. 현행 대학입시 학력고사 문제와 KAIST 학사과정 입시문제는 그 수준차가 현격하기 때문이다. 두마리 ... ...
지구밖 생명체 연구와도 관련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반대측으로 운동할 때 항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이 현상은 지구에서 관측하면
조금
씩 항성의 속도가 변하는 것이 관측될 가능성도 있다. 지구에서 멀어지면 항성의 빛은 수축되고 지구에 가까워지면 팽창한다. 수축되는 빛은 청색을 띠며 팽창하는 빛은 붉은색을 띤다. 이것은 도플러 효과로 ... ...
이전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