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가장 큰 정면모습(face-on)은하가 M101이다. 가로가 26.9′, 세로가 26.3′의 크기(보름달보다
조금
적다)인 M101은 전체 광도가 7.7등급이나 너무 확장된 은하면 때문에 표면밝기는 매우 어둡다. 아주 어둡고 투명한 밤하늘 아래서만이 7×50 쌍안경으로 관찰이 가능하다.독자들이 이 은하를 찾는다면 M101은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찍었을 것"이라고 자랑한다. 집이 시골(경기도 송탄)이라 별보는 일이 도시 아이들보다
조금
은 유리했지만 아마추어천문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는데는 오히려 장애가 됐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천체관측 내지 사진촬영을 혼자 나가는 습성이 배어 있다고 한다. 어렸을때 아마추어천문가회에 가입한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니트로글리세린이란 액체 폭약을 판매하는 상인이었다. 그런데 이 니트로글리세린은
조금
만 충격을 가해도 폭발해 버리므로 수송을 할 때는 늘 목숨을 걸어야만 했다. 그래서 노벨은 이런 위험을 제거해야겠다고 생각했다.그러던 어느 날, 노벨은 실로 놀라운 광경을 목격했다. 니트로글리세린이 든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반응을 조사했다. 고성능 스피커를 통해 흘러 나간 사자의 울부짖음에 하이에나는
조금
도 동요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얼룩 하이에나의 시끄러운 웃음소리에는 사자가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냈다.대부분의 사자는 하이에나의 시끄러운 웃음소리에 무의식적으로 이끌리는 것 같았다.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부설 과학기술정책평가연구센터의 김환석박사는 유학귀환생들의 '대학우선 편향'원인을
조금
다르게 해석한다. "한국 유학생들의 경우 최근까지도 연구주제가 대부분 이론적인 것에 치우쳐있다. 실험실습을 제대로 못익히는 우리 교육이 바탕에서 유학을 떠나는데다 대인 접촉이 큰 실험쪽은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난 꼬마는 순간 대단한 공포에 휩싸인다. 코피를 낸 꼬마도 당황하기는 마찬가지다.
조금
과로를 하면 코피가 터지는 사람도 많다. 이들에게는 코피가 피로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우리 몸의 어느 부위에서 피가 나는 것은 결코 유쾌한 일이 아니다. 실제로 출혈은 몸 안에 더 큰 질환이 있음을 알리는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웅진출판사의 '한국의 생태'시리즈중 여덟권에 이씨가 찍은 사진이 게재될 예정이어서
조금
은 위안이 된다고 한다. 앞으로 해수어도감 등 해양생물도감을 펴내는데 기여하고 싶은 것이 그의 소망.6개월 노동 6개월 촬영"똑같은 장소에 가도 계절에 따라 새종류가 다양한 것이 그렇게 흥미로울 수가 ... ...
플라네타리움 국산 제작 보급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웃 일본에서는 대형 플라네타리움이 군단위마다 설치돼 있고, 백화점 공원 등 사람이
조금
이라도 모이는 곳이면 보급형 플라네타리움이 설치돼 학생들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천체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프로그램도 다양해 몇백년 후의 별자리 모양도(팽창우주를 가정) 보여주고, 우주 개발이 어떤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우리나라 서해안의 경우가 그 유사한 예로 기름 유출사고 후 수년이 지나도 개펄을
조금
만 파들어가면 유출당시의 형태로 남아있는 석유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일단 유출된 석유는 해상에서 증발 분산 에멀션(emulsion)화 박테리아에 의한 생(生)분해 등의 풍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풍화과정은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한 시야 안에서 플레세페의 모습을 같이 볼 수 있다.목성이 있는 게자리에서 동쪽으로
조금
만 더 가보자. 흰색의 밝은 별이 보일 것이다. 바로 이 별이 유명한 사자자리의 α별 레귤러스(Regulus, +1.4등)다. 사자자리의 모습은 누가 보아도 사자라고 생각할 만큼 완벽한 모양을 갖추고 있다. 또 사자의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