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지 마비환자, 3년 반 만에 손으로 기타 치고 컵에 물 부어
2016.04.14
있는 전극을 이식하고 손목에는 전극 패치를 붙인 뒤 전선을 이용해 둘을 이은 것이다.
연구진
은 이 장치를 ‘뉴럴 바이패스(neural bypass)’라는 이름을 붙였다. 뉴럴 바이패스는 인공지능(AI) 기술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환자의 신경세포가 내리는 명령을 읽어내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예를 ... ...
거미는 곤충만 먹는다는 편견을 버려!!
2016.04.14
쿤디나마르카 지역에서 발견된 물고기 먹는 거미 - Solimary Garcia Hernandez(플로스원) 제공
연구진
의 체계적인 문헌 고찰에 의하면, 야생 상태에서는 5과(科)나 되는 거미들이 작은 물고기를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사육 상태에서는 3과 이상의 거미들이 물고기를 잡는 모습이 포착되었다고 ... ...
성관계 최적 횟수는? "일주일에 한번"
포커스뉴스
l
2016.04.13
성관계를 한 커플보다 더 불쾌한 기분을 느끼고 성관계에 대한 만족감도 낮았다.
연구진
은 커플에게 성관계 일정표를 짜는 것도 관계를 향상하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성관계 일정표를 짜면서 커플은 그것을 기대하고 먼저 처리해야 한다고 느낀다는 것이다. 일정표를 짤 때 가장 좋은 ... ...
더 저렴한 가격으로 트랜지스터 성능 25배↑
2016.04.13
원소인 인듐을 추가하면 전하이동도가 높아지지만 가격이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왔다.
연구진
은 저렴한 원소인 리튬과 탄소나노튜브(CNT)를 활용해 가격 문제를 해결했다. 일반적으로 CNT는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성질 때문에 소자 내에 골고루 분포하지 않고 뭉쳐 있어 전기적 특성이 균일하지 못한 ... ...
DNA에도 ‘슈퍼 히어로’ 있다
동아일보
l
2016.04.13
밝혀지지 않았다. DNA를 제공할 때 사생활 보호를 위한 비밀 엄수 서약을 했기 때문이다.
연구진
은 신원 공개에 동의한 사람들의 유전자를 제공받아 같은 연구를 새롭게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 “케이팝, 日에 다시 돌아와 기뻐” - 초당 50회 소리내는 방울뱀 꼬리, 안에 ... ...
지름 2㎜ 물방울이 0.2㎜ 굵기 거미줄에 초속 1㎝로 부딪힌다면?
2016.04.13
않고 땅으로 떨어진다. 거미줄에 맺힌 빗방울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있는 것일까. 국내
연구진
이 이런 궁금증에 시원한 해답을 내놨다. 김원정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유체 방울이 줄(와이어)에 충돌하는 과정에서 어떤 조건을 충족시켜야 줄에 남을 수 있는지 예측하는 관계식을 찾아냈다고 ... ...
바다에 유출된 기름, 시간당 2만 L 빨아들이는 기술 개발
2016.04.13
80~90%의 순도로 기름을 흡수하기 때문에 다른 물질들도 함께 회수됐다. 하지만
연구진
이 개발한 장비는 순도 99.9%로 기름을 회수하기 때문에 그 기름을 별도의 정제 없이 재활용할 수 있다. 김 교수는 “바다와 유사한 염분 농도를 가진 실험실 환경에서 인공 파도를 만들어 실험해본 결과 파고가 ... ...
류인균 뇌융합과학원장 “두뇌는 캐도캐도 알 수 없는 미지의 탄광”
동아일보
l
2016.04.12
수준을 묻자 겸연쩍게 웃으며 이렇게 대답했다. 2013년 4월 설립된 연구원에서 50여 명의
연구진
을 이끄는 류 원장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뇌 과학자다. 하지만 그는 인간 두뇌를 “미지의 탄광이고 그래서 과학의 마지막 숙제”라고 표현했다. ‘알파고’ 열풍으로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 ...
조울증 진단과 치료 실마리 찾았다
2016.04.12
위키미디어 제공 기분이 들뜨는 조증과 기분이 가라앉는 우울증이 번갈아 나타나는 조울증. 뇌 활동의 불균형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최근 조울증 환자의 뇌에서 공통적인 특성이 발견됐다. 마리오 아모르 이탈리아 제노아대 교수팀은 캐나다 오타와대 등과 공동으로 조울증 환자의 뇌 ... ...
일산화탄소 먹고 수소 뱉어내는 심해 고세균
2016.04.11
크기가 10배 이상 커졌으며, 부피당 수소 생산 속도도 4배가량 빨라졌음을 확인했다.
연구진
은 NA1 유전체 분석을 통해 성장 속도에 영향을 주는 조절유전자 ‘1525’를 규명하고, 이를 적용한 균주 ‘156T’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156T를 응용하면 산업 활동의 결과물로 생겨나는 유해가스 속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