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2건 검색되었습니다.
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얼마나 될까
2016.03.29
산정 지침에 따르면 논에서 메탄가스 배출량이 실제보다 적게 산정돼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
은 국내 상황에 적합한 기후변화 대응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논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양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강남구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대기환경표준센터 ... ...
살아있는 세포, 입체영상으로 보는 현미경 나왔다
2016.03.29
데다, 체내에 다시 주입해야 하는 면역세포나 줄기세포 등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연구진
은 세포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약한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컴퓨터단층촬영(CT) 기법으로 세포를 촬영했다. 이 방법으로 세포와 조직을 염색하지 않고도 세포 내부의 실시간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는 현미경을 ... ...
말기 심부전 환자의 딱딱한 심장, 말랑하게 만들 유전자 확인
2016.03.29
생쥐의 심장은 정상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됐다(D).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심장 이상으로 심장이 점점 굳어가는 심부전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 박우진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은 로저 하자르 미국 마운트사이나이 아이칸의대 교수팀과 ... ...
‘칩 위의 실험실’ 더 정밀해졌다
2016.03.28
제어하지 않고도 자동화된 덕분에 안정성과 정밀도가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진
은 칩 속 여러 채널을 동시에 각각 제어할 수 있어 랩온어칩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생명과학 연구실에서 많이 하는 세포배양이나 세포반응 분석을 초소형 바이오칩에서 ... ...
김진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단장, ‘노벨상 펀드’ 지원 받아
2016.03.28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교수도 1992년 HFSP의 지원을 받았다. 김 단장은 프랑스
연구진
과 함께 쥐여우원숭이의 뇌 신경망 지도를 구축해 신경 질환의 원인과 치료 방법을 찾을 계획이다. ... ...
웨어러블 핵심 소재로 꼽히는 ‘차세대 그래핀’ 대면적화 성공
2016.03.27
만들 경우 결정성이 깨지거나 불균일하게 형성돼 제 기능을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
은 고압 화학적 증착법을 활용해 이셀레늄화 몰리브덴 분말을 이차원 평면으로 여러 층 쌓아 올려 대면적으로 성장시키는 데 성공했다. 안정적인 상태로 얻은 대면적 이셀레늄화 몰리브덴의 트랜지스터 ... ...
태양전지 효율 상승 비결은…광자 재활용
2016.03.27
않으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전류를 만드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구진
은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내부에 있는 광자와 외부에서 새로 유입되는 광자를 모두 사용하면 기존보다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또 이런 원리는 태양전지뿐 아니라 발광다이오드(LED ... ...
지구보다 수백 배 강력한 ‘목성 오로라’
2016.03.27
목성에서 관측된 X선 오로라(보라색). 목성의 북극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 오로라는 지구의 북극 오로라보다 에너지가 수백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최근 종영한 ‘꽃보다 청춘’ 아이슬란드 편 이후 오로라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이런 가운데 최근 ... ...
[웨어러블 로봇의 세계] 웨어러블 로봇의 미래는?...뇌파 분석해 동작 예측, 한 몸처럼 움직여
2016.03.26
방식이다. 미국 록히드마틴
연구진
도 이 방법을 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연구진
도 ‘버추얼 토크 컨트롤’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소방용 로봇 하이퍼 R1도 마찬가지다. 로봇 등판에 들어 있는 컴퓨터가 관절의 각도를 감지한 다음, 이 각도의 변화에 따라 어느 정도 ... ...
[웨어러블 로봇의 세계]로봇 옷 입고 ’아이언맨’ 변신, 준비됐나요?
2016.03.26
이 때문에 실제로 상용화되면 훨씬 낮은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진
은 대량생산을 하면 대당 800만∼900만 원 정도에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기호흡기 장치 등과 세트로 대당 1500만 원 이하에 공급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장 사장은 “하이퍼 R1은 소방 현장에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