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2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
과학동아
l
2016.04.08
GIB 제공 강효정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미국 예일대
연구진
과 공동연구를 통해 다운증후군 환자의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밝혀냈다.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 하나가 추가로 복제돼 신체 기형, 정신 지체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사망한 다운증후군 환자의 뇌 ... ...
트랜지스터 값 절반으로 낮출 기술 첫 개발
2016.04.08
장비를 이용해 진공 상태에서 입자를 부착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제작비용이 비싸다.
연구진
은 저온에서 플라스틱 기판 위에 스핀 코팅 기법을 이용해 나노 입자를 뿌려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공정을 이용해 트랜지스터를 제작한 결과 트랜지스터 1㎠당 전하의 이동도가 21.7로, ... ...
초미세 물방울 증발하는 0.3초 찰나의 순간 포착
2016.04.08
1L)인 물방울이 0.3초 동안 증발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
은 포항가속기연구소가 보유한 초고속 X선 나노영상 빔라인을 이용해 마이크로입자 사이의 작은 틈에 껴서 부피가 극도로 줄어든 물방울의 증발 과정을 관찰했다. 이렇게 얻은 영상을 분석한 결과 물방울의 ... ...
초신성 폭발로 지구 생명체 죽는 ‘킬존’은 어디까지
2016.04.07
지구와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초신성 폭발이 있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국제 공동
연구진
의 연구 결과 2건이 동시에 발표됐다. 1990년대 브라이언 필즈 미국 일리노이대 교수가 처음 가능성을 제시한 지 20년 만의 일이다. 디어터 브레이취웨르트 독일 베를린공대 교수팀과 안톤 월너 호주국립대 ... ...
뇌 신경세포 실시간 관찰하는 바이오센서 ‘파도’ 개발
2016.04.06
KIST) 제공 지금까지는 뇌 신경계 활동을 관찰하기 위해 번거로운 전극을 활용했지만
연구진
이 개발한 파도를 이용하면 형광 색 변화를 통해 간단하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연구팀은 인간 세포에 파도를 연결해 1초 이내의 찰나의 순간에 생긴 산성도 변화를 1000분의 1초 수준으로 ... ...
차세대 반도체 소자 ‘흑린’ 대량생산 방법 찾아냈다
2016.04.06
불리는 흑린 덩어리를 실험용 병에 담아둔 모습.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차세대 반도체 소자 재료로 주목받고 있는 ‘흑린’을 이용해 박막(얇은 막)을 손쉽게 얻어내는 방법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흑린 실용화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주한 ... ...
3D프린터로 두개골 뼈 찍어냈다… 첫 수술 성공
2016.04.06
이 경우 인체 유해성 논란이 있는데다 주문제작에 시간이 많이 걸렸다. 생기원
연구진
은 독자적인 3D 프린팅 기술로 순수 티타늄을 이용해 합금 대비 95%에 이르는 고강도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지난해 4월 정부로부터 GMP(의약분야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임상시험 승인도 획득했다. ... ...
나노 기술 이용해 당뇨 치료 돕는다
2016.04.05
배양해 췌장세포로 분화시키는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미세한 구멍이 뚫린 표면을 이용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베타세포’를 잘 분화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김종훈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팀은 김동성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 ...
토종 기술로 방사성의약품 농축수 첫 상용화
2016.04.05
1년 넘게 걸리고, 100㎏ 생산설비 기준 구축비만 120억 원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
의 설비는 구축비용이 30억~40억 원에 불과해 생산단가를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고, 1시간 만에 생산할 수 있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종우 듀켐바이오연구소 대표이사는 “국산 ... ...
신약개발 골칫거리 ‘스크리닝’ 과정 손쉽게 바뀐다
2016.04.05
스크리닝 기술인 ‘핵자기공명분광법(NMR)’과 비교해 약 4500배 이상 효율이 뛰어나다.
연구진
은 이번 기술이 신약 개발에서 약물 및 표적 단백질의 시료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 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새로운 고효율 스크리닝 플랫폼 ... ...
이전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