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바닥만한 슈퍼컴퓨터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
황제 슈퍼컴퓨터를 손바닥에 올려 놓을 정도로 작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어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최장욱 씨(박사 과정)는 컴퓨터에 쓰이는 디(D)램 메모리 반도체보다 100배 이상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어요.연구팀은 실리콘 대신 유기물질을 이용해 ... ...
쉬운 문제만 푸는 '똑똑한 쥐'
과학동아
l
200704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인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조지아대 조나단 크리스털 교수팀은 쥐가 인간처럼 ‘메타인지’를 한다는 연구 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6일자에 발표했다.시험을 보는 학생은 자신이 어디까지 알고 어디까지 모르는지 알기 때문에 시험성적이 나쁠지 좋을지 ... ...
'미사일 킬러'에 떠는 러시아
과학동아
l
200704
된 것이 많고 밀착용 인화지는 염화은을 주로 함유한 유제가 사용된다헝가리 출신의
미국
수학자인 노이만(J L von Neumann)이 제시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컴퓨터 노이만은 1946년, 현재의 컴퓨터와 같이 기억장치에 컴퓨터의 명령과 수치를 함께 기억시키는 이른바 내장방식(stored program)을 제안했는데, ... ...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나선다
과학동아
l
200704
별 하나도 빛 휘게 해천문학자들은 1995년 페가수스자리에서 외계행성을 처음 발견한 뒤 10여 년 동안 200개가 넘는 행성을 새로 발견했다. 하 ... 선두에 서게 될 날이 머지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제2의 지구를 찾아서 PART1
미국
과 유럽, 행성탐색전쟁 선포 PART2 한국의 '지구사냥꾼' ... ...
암호를 부탁해
과학동아
l
200704
‘주민등록증’ 역할도 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공인인증서를 생각하면 된다.1978년
미국
MIT의 수학자들은 ‘RSA’라는 공개키 암호시스템을 만들었다. 원리는 수학적으로 간단하다. y=f(x)라는 함수에서 x를 알면 y도 쉽게 구할 수 있지만 거꾸로 y만으로 x를 구하기는 어렵다.[예를 들어 소수의 ... ...
수학의 날개를 단 '김연아'
과학동아
l
200704
몸을 3바퀴 반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당시에는 시도하기조차 어려운 기술이었다.
미국
의 피겨스케이팅 코치들은 트리플악셀의 비법을 알아내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바로 펜실베이니아주립대의 과학자들에게 도움을 청한 것.일단 선수들이 트리플악셀을 하는 모습을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뒤 ... ...
ABC를 알면 꽃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704
달리 생물학에는 간단한 규칙이 별로 없으며 법칙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없다.”
미국
의 저명한 식물학자 윌리엄 버거는 그의 책‘꽃: 꽃은 어떻게 세상을 바꿨나’의 첫 장을 이렇게 시작하고 있다. 생명체란 그 다양함이 본질이라는 것을 생각해볼때핵심을 찌른 표현이다.그러나 저마나 개성을 ... ...
'알몸 검색기' 백스캐터
과학동아
l
200704
검색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국
의 인권단체는 알몸이 노출된다며 반대했고
미국
과학공학회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얼굴과 중요부위는 희미하게, 총기나 폭탄류는 정밀하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설치했다.안전한 백스캐터백스캐터의 X선은 비교적 안전하다. 백스캐터로 검색할 때 사람에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04
대장에 사는 미생물이 장 내벽에 모세혈관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
립과학원회보(PNAS) 2002년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대장균은 영양물질을 발효시키거나 분해해 창고에 저장하도록 돕는다. 모세혈관이 많아질수록 장 내벽으로 영양분의 흡수가 잘 일어난다.그는 또 2006년 12월 21일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04
행복합니다.”P r o f i l e1948 출생 1971 서울대 전기공학과 졸업1976
미국
미시건대 석사 1979
미국
존스홉킨스대 전기공학박사1984~현재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2002~2005 서울대 공대 학장2003~2004년 전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2006~현재 나노기술연구협의회 회장2007~현재 대한전기학회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