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77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대 가장 무거운 입자로 표준모형 대칭성 확인
2015.08.27
입증한 것으로, 반입자들이 뭉쳐 반물질 원자핵을 구성한 이후라도 엄밀한 대칭성이
존재
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한국 연구진 대표인 유 교수는 “기본입자 뿐 아니라 기본입자들이 만든 원자핵에서도 반물질 원자핵과 엄밀한 대칭성이 나타난다는 것은 실재하는 우주의 대칭성을 강력히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 설명에 따르면 10m 이상의 직경을 가진 입자는 고리 안에
존재
하기 힘들다. ○ TIP :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스터리 토성은 태양계 행성 가운데 밀도가 가장 낮다. 자전 속도도 굉장히 빨라서 다른 가스형 행성들보다 타원체 형태로 납작하게 눌려 있다. 때문에 자세히 ... ...
남극 해저 2km 중앙해령에서 열수 분출구 새로 발견
2015.08.22
발견됨으로써 남극권에는 저위도 중앙해령과 구분되는 새로운 열수 생태계 구역이
존재
할 가능성이 생겼다. 지금까지 지구상에서는 400여 곳의 열수 분출구가 관찰됐고, 여기서 서식하는 700여 종의 열수 무척추 동물이 발견됐다. 이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 분야 권위지인 ‘지구화학, 지구물리학, ... ...
은하수 저편에서 ‘유령입자’ 샘솟는다
2015.08.20
반응할 때 뮤온이라는 입자를 생성하면서 남기는 섬광을 광센서로 포착해 중성미자의
존재
를 확인한다. 연구진은 이 장치를 이용해 2010년부터 최근까지 고에너지 중성미자 21개를 검출하고 그들의 출처를 각각 우리은하와 은하 바깥으로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는 장치 안에서 생성된 ... ...
“우울증, 비만 치료제 남성에게 효과 없어”
2015.08.18
물질이다. 이번 연구로 연구진은 뇌신경계에 관여하는 약물의 효능도 남녀 차이가
존재
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낸 것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쥐를 대상으로 진행됐기 때문에 사람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낼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울리 교수는 ... ...
[신나는 공부]쇳물부터 자동차까지… ‘자동차 기술로드’를 달리다
동아일보
l
2015.08.18
“미래 자동차 시장에는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 다양한 자동차가 함께
존재
할 겁니다. 미래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자동차를 원하기 때문이죠.”(최웅철 국민대 자동차공학과 학과장) 기술대장정 첫 프로그램은 10일 국민대에서 시작됐다. 국민대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다. 자연계에서 효모에게 이런 미적인 측면까지 요구하는
존재
는 없을 테니까. 과연 그럴까. 2014년 학술지 ‘셀 리포츠’ 에는 효모가 향기 성분을 만드는 건 초파리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과일껍질을 한참 두면 꼬이는 작은 파리가 바로 ... ...
가장 이색적인 똥 직업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위험성 : ★★★★ 16세기 영국에는 왕실 변기 담당관이 있었어요. 당시 왕은 신성한
존재
라 백성들은 왕을 위해 모든 일을 해야 했지요. 그 중에서도 왕의 엉덩이를 닦는 왕실 변기 담당관은 지저분하지만 추앙 받는 자리였어요. 오직 고위 귀족만이 왕의 엉덩이에 손을 댈 수 있었거든요. 왕이 ... ...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주목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이 부위에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바꾸는 여러 마이크로RNA의
존재
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베뉼라에 있는 여러 마이크로RNA가 니코틴 중독을 일으키도록 니코틴 중독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것이다. 임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니코틴 중독의 새 원인을 밝히고 ... ...
종양 발생 막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아냈다
2015.08.12
과정을 규명하고, 단백질과 효소 복합체(p53-HAUSP)의 역할과 이를 연결하는 뉴클레오린의
존재
를 새롭게 알아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의 온라인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4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