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77건 검색되었습니다.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있었다. 식물과 동물이 이 때 육지로 올라온 데에는 오존층의 역할이 컸다. 성층권에
존재
하는 오존층은 자외선이 지표에 도달하지 못하게 막아준다. 오존층이 없을 때에는 자외선이 지표면까지 도달했는데, 이 때문에 생명체가 살기 불가능했다. 바닷속만 예외였다. 바다 속으로는 자외선이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이해’한 게 아니므로 진정한 지능으로 볼 수 없다는 얘기다. 인공지능은 세상에
존재
하는 다양한 종류의 지능 중 하나다. 그러나 과학철학자 다니엘 데닛은 저서 ‘의식에 대한 설명’에서 “마법의 불꽃이나 영혼이 없다면 인간은 기계에 불과하다”며 “인간이라는 기계가 지능에 대해서만 ... ...
해킹용 ‘와이파이’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6.29
물리적 특성 자체를 분석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연구진은 이 신호를 컴퓨터 기기마다
존재
하는 맥(MAC) 주소나 무선네트워크 이름(SSID)과 같이 비교해 불법 복제 AP를 통한 침해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은행권 등 보안이 중요한 분야의 인터넷 서비스 신뢰도를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
하나?
2015.06.29
존재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동안
존재
여부가 논란이 된 초파리에서도 정밀한 분석 결과
존재
하는 걸로 나왔다. 특히 초파리 배아 발생 초기 단계에는 0.07%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6mA가 개체발생에 어떤 역할을 함을 시사하고 있다. 사람의 게놈에도 6mA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연 6mA가 ... ...
식중독의 계절… 냉장고 너무 믿지 마!
동아일보
l
2015.06.29
높아져 장염비브리오 등 다양한 식중독 세균이 발생하기 쉬운 계절이다. 연안 해수에
존재
하는 세균들은 주로 20∼37도의 높은 온도에서 빠르게 증식하는데, 여름철이 되면 해수 온도가 20도 이상으로 올라가 세균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되기 때문이다. 연간 발생하는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분포를 ... ...
인간 진화의 원동력은 ‘부정 본능’
2015.06.28
작은 생명체인 바이러스. 하지만 바이러스는 어느덧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존재
가 됐다. 최근 우리나를 공포에 떨게 한 메르스 바이러스는 소강 국면에 들어섰지만 메르스 바이러스가 불러 일으킨 공포감은 여전히 남아있다. ‘바이러스 대습격’의 저자 앤드루 니키포룩은 ... ...
병원간 환자정보 공유 확대… ‘의료쇼핑’ 감염확산 차단을
동아일보
l
2015.06.26
10번 환자(44)는 출국할 때까지 보건당국의 관리망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었다. 10번 환자의
존재
를 보건당국이 뒤늦게 파악한 뒤 중국에 통보해 곧바로 격리조치에 들어가 큰 화는 면했다. 자칫 잘못해 10번 환자가 중국에서 메르스를 전파했다면 ‘한국이 동북아에 메르스를 확산시켰다’는 국제적 ... ...
시아노박테리아 생체시계 단백질의 ‘두 얼굴’
2015.06.26
밝혔다. 물분자는 ATP를 분해할 때 꼭 필요하다. 또 카이C 단백질의 활성 중심 부위에
존재
하는 ‘트랜스 시스(Trans-Cis) 이성화’라는 특이한 구조 변화도 활성을 낮추는 원인으로 밝혀졌다. 손 연구원은 “시아노박테리아에서 밝혀진 생체시계의 비밀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생체시계 연구에 ... ...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5.06.23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물론 누누이 이야기했듯이 영혼이
존재
한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없습니다. TV에 나오는 전생 체험은 순전히 ‘쇼’일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게 최근 아닙니까. 몇 대만 거슬러 올라가도 우리 전생은 사람이 아닐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수백조 마리의 미생물이 사는 집이다. 즉 기존 패러다임에 따르면 인체거주미생물의
존재
를 설명하기 어렵다. 최근 장내미생물 연구가 급격히 이뤄지면서 이들과 면역계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그 가운데 조절T세포를 주목할 만하다. 십여 년 전 교과서를 보면 ... ...
이전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