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77건 검색되었습니다.
핫~ 뜨거! 재빨리 손 떼게 만드는 유전자 발견
2015.05.26
비며 실명하거나 사망에 이른 사례도
존재
한다. 연구진은 가족 중에 무통증 환자가
존재
하는 유럽과 아시아지역 11개 가족의 유전자를 연구한 결과 PRDM12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면 무통증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PRDM12는 유전자의 끝 부분에서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 역할을 ... ...
[신나는 공부]초특급 ‘반수생’이 몰려온다
동아일보
l
2015.05.26
것이다. 이들 최상위권 반수생은 현재로선 ‘대입 수험생’ 수에 잡히질 않는다.
존재
하지만 실체가 드러나지 않아 ‘유령 같은 반수생’이라고도 불린다. 수능 공부의 기초가 잘 잡혀 있는 이들은 재수학원을 다니기보단 혼자 인강을 들으며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 6월 모의평가는 응시하지 않아 ... ...
바다에서 건져 올린 플랑크톤 왕국
2015.05.25
70만 년이나 앞당겼다. 소니아 하르만드 미국 스토니브룩대 교수팀은 이 석기를 만든
존재
가 누구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손잡이가 단단하고 다루기 편리하다는 점에서 도구를 제작하는 지적인 능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이 도구가 무언가를 부수고 날카롭게 가루를 내는 데 쓰였을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2% 부족한 쇳덩이에서 인류 위협하는
존재
로
2015.05.23
것이라는 기대가 영화 속에 표출된 셈이다. ● 최근 로봇은 인간과 갈등 일으키는
존재
2011년 ‘리얼 스틸’에 등장하는 복싱 로봇은 로봇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지만 이전 영화들처럼 비현실적인 운동신경을 묘사하는 데 주력하는 대신 현실 감각을 찾았다. 주인공인 인간이 컨트롤러를 들고 ... ...
“저는 웜홀이 있다고 믿습니다”
2015.05.20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UST)에서 박사과정 중인 송유근 씨(왼쪽)와 킵 손 교수. - 서울디지털포럼 2015 제공 “영화 ‘인터스텔라’는 할리우드 영화 사상 전례가 없을 ... 연구했지만 사실 실패했어요. 하지만 여러 과학적인 데이터로 미뤄볼 때 저는 웜홀이
존재
할 거라고 믿고 있습니다.” ... ...
매머드 유전자, 코끼리에 이식 ‘쥬라기 공원 실사판’
동아닷컴
l
2015.05.19
만든 세포를 아시아코끼리의 난자에 이식하면 실제 동물을 탄생시킬 수 있다. 물론 과거
존재
했던 실물 그대로의 매머드는 아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 대학의 베스 샤피로 교수는 “코끼리와 매머드는 최소한 7000만개 이상의 유전자가 다른 만큼, 현재로서는 0.0001% 매머드 세포라고 할 수 ... ...
지문에 남은 마약의 흔적, 즉석에서 확인
2015.05.18
방식으로 마약 복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땀에 남아 있는 코카인 대사 잔여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해 마약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간 마약 검사에는 혈액이나, 소변검사가 주로 사용됐다. 두 검사는 투약 여부를 확인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혈액을 채취할 전문 ... ...
아침형 인간 vs. 저녁형 인간, 유전자 80여 개가 결정
2015.05.17
부화하는 ‘아침형 번데기’지만, 야생 환경에서는 늦게 부화하는 ‘저녁형 번데기’도
존재
한다. 연구팀이 ‘RNA염기순서결정법’이란 분석방법을 통해 두 집단의 유전자를 해독했다. 그 결과 80여개의 유전자가 생체리듬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초파리가 가졌다고 알려진 15000여개의 ... ...
‘뜨는’ 인도와 ‘되돌아온’ 쿠바
2015.05.17
일부 과학자들이 마치 게릴라처럼 국경을 벗어난 연구를 통해 ‘아직 죽지 않았다’는
존재
감을 내보이는 정도였다. 쿠바 연구자들은 소위 ‘100달러를 투자해서 100만 달러짜리 장비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방법에 골몰해야 했다. 하지만 올해 초 미국과 쿠바의 국교가 ... ...
韓 연구진 “힉스 이후 최대 성과” 수확에 기여
2015.05.14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확인했다. 이는 2013년 힉스의
존재
를 확인한 5시그마보다 더 명료한 결과다. 특히 B중간자가 붕괴해 만들어진 2개의 뮤온 입자를 검출하는 데는 한국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뮤온 검출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최수용 한국 CMS사업단장 ... ...
이전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