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77건 검색되었습니다.
[Health&Beauty]7000개 희귀질환 중 5%만 치료제
존재
동아일보
l
2015.07.08
부족한 수준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7000여 종의 희귀질환 가운데 치료제가
존재
하는 것은 5% 미만이다. 국내 환자들의 현실은 더욱 비참하다. 해외에서 개발된 희귀질환치료제가 국내 허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약값이 비싸 치료받지 못하는 환자가 많다. 허가된 희귀 의약품 중 제대로 공급되지 ... ...
“바다뱀 찾아 주시면 사례금 100만 원 드립니다”
2015.07.08
“아직 바다뱀을 직접 잡았다는 제보는 못 받았다”면서도 “국내 바다뱀이 3종 이상
존재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바다뱀을 포획하면 유전자를 분석해 국내 자생종인지 열대지방에서 유입된 종인이 확인할 계획이다. 또 바다뱀을 기르며 먹이 등 생태도 연구할 생각이다. 박 ... ...
美 스탠퍼드大 한국인 과학자들, 차세대 이차전지 활로 찾았다
2015.07.07
상호작용이 발생하면서 충·방전 시 깨지지 않는 현상이 발견됐다. 나노 기둥이 혼자
존재
할 때는 팽창이 결정 방향으로 일어나면서 깨지는 현상이 발생했지만, 여러 개의 기둥을 배열하면 서로 간의 상호작용으로 팽창 방향이 바뀌며 구조가 파괴되지 않은 것이다. 연구진은 “실리콘 입자간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2015.07.07
‘폴리큘라 헬퍼 T세포(Tfh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Tfh세포의
존재
는 면역학자들에게는 익히 알려져 있었지만 이 세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생겨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Tfh세포는 인체에 침입한 병원체를 기억해 같은 병원체가 다시 침입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 ...
대학 수학 잘 하는 비법은 있을까
2015.07.05
뇌의 작용, 생태계의 역학 등을 연구한다. 더 나아가 생명의 본성과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에 관한 주제와도 연결된다. 저자는 20세기에 새로운 수학이 나타나게끔 한 힘이 물리학이었다면, 21세기에는 생명과학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 ...
확 풀어 준다!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07.03
않는 갈증을 허수로 해결해냅니다. 오늘날 수학과 물리학에서 허수는 없어서는 안되는
존재
입니다. ● 미식가의 조건, 평양냉면 코리아넷(w) 제공 16세기 실력 있는 수학자의 조건이 ‘근의 공식을 아느냐’였듯이, 오늘날 한국의 미식가의 조건은 평양냉면입니다. 맛집 좀 다닌다고 해도 ... ...
진돗개, 군견으로 성공할 수 있을까
2015.07.03
김희수 부산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진돗개의 ‘TH’ 유전자에서 특정 염기서열 패턴이
존재
하는지 확인한다면 군견으로서의 성공 가능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찰청이 우수한 군견의 체세포를 얻어 복제한 ‘블랑코’. 작년 11월에 태어난 블랑코는 현재 폭발물 탐지견으로 ... ...
네팔 대지진 원인 규명할 단서 첫 발견
2015.07.01
티베트 고원 지각 하부에서 동서방향으로 나란히 길게 뻗은 거대한 모호면 습곡 산맥의
존재
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 모호면은 남쪽의 인도판과 북쪽의 유라시아판이 충돌하면서 생성됐다. 또 동쪽 경계면에서는 남북방향의 습곡 구조도 나타났다. 이는 티베트 고원 지각과 쓰촨 분지를 ... ...
국내 첫 기초의학 연구단 ‘혈관연구단’ 출범
2015.07.01
심사를 통해 최대 11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고 단장은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의
존재
와 작동 메커니즘을 밝혀 주목을 받은 혈관생물학(Vascular Biology) 분야의 권위자로 꼽힌다. 혈관 분야 국제학술지 ‘블러드(Blood)’ 편집위원이며 최근에는 암 연구분야 국제저널인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꿰어 찼을 뿐이다. 이제는 보이지 않는 병이 아니라 병원체가 인간을 향해 싸움을 거는
존재
가 됐다. 문제는 병원체에 대한 이런 관점이 현대 의학과 과학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원인(병원체) 한 가지에 모든 악을 뒤집어씌운 채 다른 요인에 대해서는 뒷짐을 지게 만들 수 있어서다.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