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d라이브러리
"
서열
"(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오크를 개량해 ‘우르크 하이’라는 강력한 몬스터를 만들어 냈다. 힘에 따라 무리의
서열
이 정해지는 오크는 종종 자신의 종족을 잡아먹기도 한다. 반지 제왕에서 메리와 피핀을 잡아 사루만에게 돌아가는 오크 무리가 서로 잡아먹는 장면이 나온다.재미있는 사실은 사루만의 오크 부대가 대 ... ...
컴퓨터 이용한 대장균 진화 예측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만들어 이 결과를 11월 14일자 ‘네이처’에 게재했다.이바라 교수는 전체 게놈 염기
서열
이 밝혀진 K-12라는 대장균의 모든 대사과정을 디지털화해 컴퓨터로 옮겼다. 논문에 따르면 이 ‘실리콘 대장균’은 실제 대장균이 특정 환경 조건에서 적응하고 진화하는 메커니즘을 약 75% 이상의 정확도로 ... ...
1. 과학적 안목 가진 지도자가 세계 이끈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사용되는데 어떤 제한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고어 처리되지 않은 기본적인 게놈
서열
데이터는 특허로 인정될 수 없다. 이 데이터는 의학적 진단, 시술, 치료의 발전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전세계의 과학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정보에 대한 무제한적인 접근은 질병을 줄이고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셀레라는 DNA를 수천만개의 조각으로 무작위로 나눈 뒤 염기
서열
을 읽어 조합하는 샷건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했다. 이를 위해서 독자적인 알고리듬을 개발해 슈퍼컴퓨터에 적용시켰다. 바이오인포매틱스의 효과적인 사용으로 시간을 대폭 줄인 것이다.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EST(Expressed Sequence Tag)|DNA에서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
서열
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자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 ... ...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루코노스톡 김치 아이의 유전자 염기
서열
을 99% 이상 판독했다고 밝혔다. 향후 전체 염기
서열
을 순서대로 정확하게 배열하는 보완작업을 거쳐 김치게놈지도가 완성되면 발효과정을 조절해 언제나 최상의 맛과 향을 자랑하는‘맞춤 김치’를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쿠킹 Tip!김치는 만들어지는 ... ...
한국인 게놈 연구 전도사 유향숙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변해갔다. 염기
서열
분석을 주요사업으로 하던 벤처기업들의 비판을 무릅쓰고 염기
서열
분석장비를 따로 구매한 것도 이같은 연구 지원을 위해서 필수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러나 유단장이 갈 길은 아직도 멀다. 위암, 간암 유전자와 SNP 발굴이라는 유전체사업단의 제1, 2과제에서는 어느 정도 ... ...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있다.한편 국립보건원 유전체연구소의 김규찬 박사팀은 한국인 수백명의 특정 부위 염기
서열
을 모두 결정해 한국인 특이의 SNP를 발굴하고 각 염색체의 일배체형을 결정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생명공학벤처회사인 마크로젠은 동북아시아 국가들과 연합해 우리 민족과 뿌리가 같을 것으로 ...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성공을 거둘 수밖에 없다. 그런데 최근 SNP와 같은 유전적 변이들이 약 6만개의 염기
서열
로 이뤄진 블록(block)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어떤 유전적 변이형의 블록이 질병과 연관성을 갖는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하나의 단위 또는 덩어리로 함께 유전되는 이와 같은 DNA 블록을 일배체형 ... ...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인체에 나타나는 다양한 암의 발생은 염색체의 수적·구조적 변화, 그리고 유전자 염기
서열
의 돌연변이 등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돼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암의 발생과정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전학뿐만 아니라 필수적으로 후성학적 관점을 도입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