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d라이브러리
"
서열
"(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1백주년과 함께 밝혀진 생명과 물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밝혀낸 생명과 물질의 세계를 탐험하자.(1) DNA와 노벨상생명체의 유전정보는 DNA에 염기
서열
형태로 저장돼 있다. DNA는 세포가 분열할 때 유전정보를보존하기위해그대로복제된다. 또 DNA는 RNA를 통해 생체에서 실제 일을 하는 단백질의 정보를 갖고있다. DNA의 유전정보는 mRNA로 전사되는데, mRNA는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것도 주시할만하다. 예를 들어 게놈프로젝트에는 염기
서열
(DNA sequence)을 판독하기 위한 DNA칩이 많이 쓰인다. 현재 쓰이는 DNA칩은 유리판에 DNA 한가닥으로 점을 찍어놓은 것이다. 이 칩을 배열을 모르는 DNA 용액에 넣으면, 용액 속 DNA가 어떤 특정한 배열을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앉아서 지켜보았을 정도다”라고 표현했다. 한스마 부부는 장래에 이 기술을 이용해 염기
서열
판독을 보다 쉽게 하지 않을까 하는 전망을 내놓았다.한편 SPM이 생명과학 연구에 이용되는 또다른 예는 단백질 연구다. DNA의 정보에 따라 합성된 단백질은 초기 아미노산들이 한줄로 연결된 긴 체인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모두 참가한다.2000년 CASP 대회에는 23개국 1백63개팀이 참가했다. 대회 결과 아미노산
서열
의 상동성(homology)이 높은 단백질의 경우에는 예측구조와 실제구조를 비교했을 때 평균오차거리가 4Å(1Å=10-10m) 이내로 매우 작았고, 상동성이 낮은 구조의 경우는 10-20Å의 비교적 큰 평균오차거리를 가짐을 ... ...
단백질 구조 분석의 소총수 HP 격자 모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0으로 약속한다. 이 값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단백질 구조를 참고로 결정됐다. 아미노산
서열
이 PHPPHHPH인 단백질의 가능한 2천1백87개의 구조 중 에너지 값이 -2인 2차원 HP 격자 모델의 구조를 나타내면 위 그림과 같다 ... ...
④ 세계 과학자 공유하는 생명의 데이터베이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같은 생물에서 유전자와 단백질의 기능이 밝혀졌다고 가정하자. 연구에서 밝혀진 DNA 염기
서열
순서와 아미노산배열순서는 국제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저장된다. 그러면 다른 연구자들이 새로운 생물에서 유전자와 단백질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준다.만약 어떤 유전자와 단백질의 배열순서가 국제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주요 성과 중 하나는 돌연변이 빈도에 관한 내용이다. 돌연변이란 유전자의 염기
서열
이 바뀌면서 생기는 다양한 변이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개체의 생존에 불리한 방향이 많다. 특히 성염색체에 생긴 돌연변이는 개체의 번식에 걸림돌이 된다.남성과 여성의 생식세포가 될 부분(germ line)에서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reading frame) 분석을 통해 얻는다. 미생물의 전체 염기
서열
중 유전자 지역을 찾고 그 염기
서열
이 어떤 단백질(효소)을 지정하고 있는가를 알아내려는 목적이다. 만약 우리가 실험하는 미생물이 아밀라아제 효소를 지정하는 ORF를 가지고 있다면 그 미생물은 녹말이나 글리코겐을 가수분해하는 기능을 ... ...
슈퍼컴퓨터와 생명공학의 화려한 만남 생물정보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양의 생물정보가 매일 쏟아지고 있다. 인간 전체 염기
서열
정보만 하더라도 약 3GB다. 신문 19만6천2백장에 해당하는 방대한 정보량이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생물정보의 높은 파도를 헤쳐나갈 든든한‘거북선’이 있기 때문이다. 어지러운 생물정보의 명쾌한 분석도구 생물정보학.33억 ... ...
① 인간게놈 정보의 해일에서 진주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데이터베이스와 전산 시스템이 최근 ‘DNA 칩’ 분야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DNA 칩은
서열
을 알고 있는 수천 내지 수만개의 유전자 조각을 정해진 자리에 고정시켜 놓은 후, 미지의 샘플에 있는 유전자들이 상보적 조각을 찾아가서 짝을 이루도록 유도하는 장치다. 짝이 이뤄진 것은 형광반응을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