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3건 검색되었습니다.
27시간 지속되는 ‘메모리 메타물질’ 개발
2016.02.24
있어 실제로 응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진
이 개발한 메모리 메타물질의 구조도.
연구진
은 기존 그래핀 메타물질에 강유전체를 접목해 광학적 특성을 유지하는 메타물질을 개발했다. - KAIST 제공 연구팀은 그래핀 기반의 메타물질에 메모리 특성이 우수한 강유전체 고분자를 쌓아 올려 이 ... ...
영화 ‘마션’처럼 화성에서 감자 키울 수 있을까
2016.02.24
현지 언론에 따르면 NASA
연구진
은 올해 1월 국제감자센터(CIP) 페루지부에서 현지
연구진
과 공동으로 후보 감자 100종을 대상으로 하는 사전 재배 실험에 착수했다. 연구팀은 3~4월 중 첫 연구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화성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감자를 재배 중이다. 화성은 ... ...
양자점 이용해 유기태양전지 효율 18% 끌어올려
2016.02.23
그래핀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균일한 표면 덕분에 전하가 빠르게 이동한다.
연구진
이 개발한 소자는 ITO전극 위에 고분자만 올린 기존 소자보다 효율이 17.8%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 빛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은 최대 10.3%를 기록했다. 안정성도 함께 개선됐다. 손 연구원은 “제조공정이 ... ...
LED 소자 하나로 백색 빛 첫 개발
2016.02.23
색을 조합할 필요 없이 단 한 개의 소자만으로 다양한 색을 혼합해 낼 수 있다. KAIST
연구진
이 개발한 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 KAIST 제공 조 교수는 “기존에 연구한 방식은 전압의 변화에 따라 빛의 색이 수시로 바뀌어 화질을 안정화 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면서 “산업체 ... ...
실명 위기 환자들, 광유전학 기술로 다시 앞을 보게 될까
2016.02.23
flickr 제공 실명 위기 환자들에게 ‘빛’이 되어줄 새로운 기술이 나왔다. 다음달 광유전학(optogenetics) 기술이 첫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눈 먼 사람들이 세상을 다시 볼게 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토머스 그린웰 미국 국립보건원(NIH) 국립안과연구소 망막신경과학 프로그램 총괄책 ... ...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사고위험 3.6배 높여
2016.02.23
flickr 제공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이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경종을 울리고 있다. 도로교통공단은 2014년 한 해 동안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비용이 26조5000억 원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하기도 했다. 토머스 딘거스 미국 버지니아폴리테크닉주립대 교통 ... ...
차세대 ‘나트륨-공기 전지’ 성능 저하 미스터리 풀었다
2016.02.22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주목받는 ‘나트륨-공기 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을 찾아냈다. 그간 성능 저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서는 미스터리로 불렸다.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나트륨-공기 전지의 효율과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찾아 전지 ... ...
“위암 조기치료 성공하면 심혈관계 건강도 향상”
2016.02.22
또는 전체를 잘라내야 하므로 치료 후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
은 위암 치료가 노년기 건강의 악신호인 심혈관 질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가치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하 교수는 “위 수술 방법과 비만율에 따른 ... ...
“베이징 대기오염이 비만 위험 높인다”
2016.02.21
2013년 9월 베이징의 모습. 대기 오염으로 성이 뿌옇게 보인다. - 위키미디어(Yinan Chen) 제공 베이징의 심각한 대기오염이 실제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가 나왔다. 공기 속 오염 물질이 만성염증을 일으키고 대사증후군을 유발해 비만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다. 중국 북경대와 중국과학원 ... ...
해양→육지→해양, 서식지 옮겨온 거머리말 유전자 완전 해독
2016.02.21
1990년대 까지만 해도 시작되지 않았다. DNA를 정화하는 과정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연구진
은 거머리말이 서식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잎에 기공을 만드는 유전자를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육지에 서식할 때는 물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스의 교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잎에 기공이 ... ...
이전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