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사고위험 3.6배 높여
2016.02.23
flickr 제공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이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경종을 울리고 있다. 도로교통공단은 2014년 한 해 동안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비용이 26조5000억 원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하기도 했다. 토머스 딘거스 미국 버지니아폴리테크닉주립대 교통 ... ...
“위암 조기치료 성공하면 심혈관계 건강도 향상”
2016.02.22
또는 전체를 잘라내야 하므로 치료 후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
은 위암 치료가 노년기 건강의 악신호인 심혈관 질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가치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하 교수는 “위 수술 방법과 비만율에 따른 ... ...
차세대 ‘나트륨-공기 전지’ 성능 저하 미스터리 풀었다
2016.02.22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주목받는 ‘나트륨-공기 전지’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을 찾아냈다. 그간 성능 저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학계에서는 미스터리로 불렸다.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나트륨-공기 전지의 효율과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찾아 전지 ... ...
“베이징 대기오염이 비만 위험 높인다”
2016.02.21
2013년 9월 베이징의 모습. 대기 오염으로 성이 뿌옇게 보인다. - 위키미디어(Yinan Chen) 제공 베이징의 심각한 대기오염이 실제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가 나왔다. 공기 속 오염 물질이 만성염증을 일으키고 대사증후군을 유발해 비만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다. 중국 북경대와 중국과학원 ... ...
해양→육지→해양, 서식지 옮겨온 거머리말 유전자 완전 해독
2016.02.21
1990년대 까지만 해도 시작되지 않았다. DNA를 정화하는 과정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연구진
은 거머리말이 서식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잎에 기공을 만드는 유전자를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육지에 서식할 때는 물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스의 교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잎에 기공이 ... ...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의 이종교배, 언제부터 이뤄졌나
2016.02.18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에게 면역 등 유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다. - 위키미디어 제공 7000년 전 사라진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오랫동안 공존하면서 면역 등 유전적으 ... ...
항생제 남용, 인체의 바이러스 방어력 떨어뜨려
2016.02.18
수 있다. 미생물 군집에 불균형이 생기면 바이러스를 방어하는 능력도 떨어진다. 국내
연구진
은 항생제로 인해 미생물 군집에 불균형이 생길 때 면역력이 어떻게 떨어지는 지 자세한 기전을 규명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지난달 25일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이흥규 KAIST 의과학대학원 ... ...
자연계 최고로 단단한 소라껍데기의 비결은
2016.02.18
사이의 경계에는 결정의 배열 방향이 거울을 맞댄 것 같은 ‘쌍정’ 구조를 이룬다.
연구진
은 나노 크기 물체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소라껍데기에 균열을 일으켰을 때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표면에서 균열이 가했을 때 쌍정의 경계면이 ... ...
“北, 핵실험 강도 높이면 백두산 화산 폭발할 수도”
2016.02.18
분석하면 지하 어느 깊이에 마그마가 뭉쳐 있는지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중
연구진
은 2018년 백두산에 실제 시추공을 뚫고 마그마가 흐르는 지하를 직접 조사할 계획이다. ... ...
인공심장 만드는 새로운 세포배양기 나왔다
2016.02.17
터지면서 발생하는 ‘신장 응력’이란 힘을 이기지 못하고 세포가 손상되는 것이다.
연구진
은 배양기 내부에서 세포 손상을 측정하는 장치와 기포 조절장치를 만들고, 액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유체장치 역시 개발해 두 기술을 기존의 동물세포배양기에 적용했다. 이 기술을 적용해 ... ...
이전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