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에 바르고 빛 쪼이면 끝! 이런 백신 또 없습니다~
2016.02.02
백신을 주사로 맞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감염 우려를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
연구진
은 찢어진 피부에 빛을 쪼여 피부를 접합하는 데도 성공했다. 찢어진 상처 부위에 빛에 잘 반응하는 염료를 바른 뒤 생분해되는 ‘광 도파관’을 삽입해 피부 깊숙이 빛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돼지 ... ...
유기 태양전지 효율 7.5%, 세계 최고 기록 달성
2016.02.02
국내
연구진
이 대면적 유기 태양전지의 모듈을 새로 개발해 세계 최고 효율을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유기 태양전지는 태양전지에서 빛을 받으면 전하를 생성하는 영역인 ‘광활성층’을 플라스틱 같은 유기물로 만드는 태양전지다. 광활성층을 실리콘으로 만드는 기존의 단단한 태양전지와 달리 ... ...
인공으로 ‘모래폭풍’ 만드는 장비, 국내서도 개발
2016.02.01
했지만 가로세로 10cm 이하의 소형 부품만 실험할 수 있어 효용성이 떨어졌다. 기계연
연구진
은 총 4억 원의 개발비를 투입해 관련 장비를 개발했다. 이번에 구축한 장비와 유사한 성능의 장비를 수입할 경우 약 20억 원이 들고 설치비까지 감안하면 4배 이상의 비용을 절약한 셈이다. 이 ... ...
은으로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정밀도 높였다
2016.02.01
정도에 따라 혼합물의 성분을 분리해 검출하는 기술이다. - 위키미디어 제공 국내
연구진
이 혼합물의 성분을 간단히 분리하는 종이 크로마토그래피의 성능을 한 단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정기훈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은 나노입자를 활용해 고감도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개발했다고 ... ...
홍합과 오징어빨판 따라했더니 선박에 달라붙던 해양물질 사라져
2016.02.01
및 환경대학원 교수팀은 강태곤 삼성 SDI 연구원,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SB)
연구진
과 함께 선박 표면에는 물론 체내 임플란트에도 응용할 수 있는 방오소재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선박이나 해양 시설 아래에는 동식물이 달라붙기 일쑤인데, 이를 방치할 경우 운항시 저항이 늘어나는 문제가 ... ...
미적분 최초 개발자는 고대 바빌로니아인이다!
2016.01.31
그 중에서도 목성을 자신들의 수호신인 ‘마르두크’의 상징으로 여겼다. 최근 독일
연구진
은 고대인들이 목성을 관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움직임도 계산할 수 있었다는 새로운 증거를 찾아냈다. 마티외 오센드리버 독일 홈볼트대 교수팀은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의 지식이 기록된 점토판을 ... ...
3D 프린터로 한옥 짓고 초임계 기술로 목재 건조
2016.01.29
“흙을 잉크로 쓰면 독성이 높은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
은 전통적인 멋을 살린 기와를 3D 프린터로 찍어내는 일부터 시도해 4년 뒤에는 대형 3D 프린터로 한옥을 한 채 지을 계획이다. ● 초임계기술로 단시간에 목재 건조 2014년 국보 1호인 숭례문 복구 당시 불거진 ... ...
음식물 알레르기, 이래서 생기는 군요
2016.01.29
29일자에 발표했다. 우리 몸속 면역시스템은 음식물조차 ‘외부 물질’로 인식하는데,
연구진
은 음식물에 달린 항원이 소장 점막에서 일어나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 발진이나 호흡 곤란이 나타난다. □ ... ...
차세대 신소재 ‘황화몰리브덴’ 전기적 특성 풀었다
2016.01.27
불리는 그래핀과 나란히 주목 받고 있는 이황화몰리브덴(MoS2)의 전기적 특성을 국내
연구진
이 밝혀냈다.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큰 보탬이 될 기초연구 성과로 보인다. 이영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 팀은 이황화몰리브덴 나노박막의 구조와 전기적 특성을 규명했다고 27일 ... ...
원자 하나까지 반응하는 ‘궁극의 촉매’ 개발
2016.01.27
잘 일어나도록 첨가하는 촉매의 효율을 큰 폭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
이 개발했다. 이현주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연세대 알로이시우스 순(Aloysius Soon) 교수팀과 공동으로 고가의 백금 촉매를 원자 단위로 분해해 전기화학 반응에 적용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 ...
이전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