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라믹 입혀 염증 90% 줄인 차세대 스텐트 개발
2016.02.05
K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염증과 혈관 재협착 등 기존 스텐트의 부작용을 없앤 관상동맥용 차세대 스텐트를 개발했다. 한동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사진) 팀은 표면을 세라믹으로 코팅한 스텐트를 개발하고 동물 실험에 적용한 결과, 기존 대비 90% 이상 염증이 ... ...
취향 존중하는 피자 배분법 발표!
수학동아
l
2016.02.05
빙 두르듯 이어붙이면 새로운 정다각형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입니다.
연구진
은 다각형의 예각과 둔각의 개수, 다각형 내각의 합 사이의 관계를 통해 꼭짓점이 2n개인 정다각형을 좌우 대칭인 n각형 2n개로 나눌 수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정다각형의 꼭짓점이 많아질수록 전체적으로 원에 ... ...
기네스북에 오른 ‘세계에서 가장 얇은 광원’
2016.02.05
이상욱 건국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서울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진
과 공동으로 단층 그래핀으로 만든 나노 크기의 가시광선 소자가 ‘세계에서 가장 얇은 광원(光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됐다고 5일 밝혔다. 이 소자는 두께가 0.335㎚(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에 ... ...
피부에 붙이면 심전도, 근전도 검사 한 번에 해결
2016.02.05
μW) 미만으로 초소형 배터리가 들어 있어 스티커를 한 번 붙이면 이틀 이상 쓸 수 있다.
연구진
은 또 사람의 몸이 전류를 흘려보낸다는 사실에 착안해 수신 장치를 피부에 갖다 대는 것만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인체매질통신’을 활용해 통신 문제도 해결했다. 유회준 교수는 “현재 ... ...
탈모 막으려면 모낭줄기세포 노화 막아야
2016.02.05
치료하는 데 새로운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진
은 ‘사이언스’에 실린 다른 논문을 통해 모낭줄기세포가 머리카락이 분열을 멈추는 휴지기를 벗어나 분열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Foxc1’이라는 특정 전사인자(단백질 발현 조절 인자)의 역할이 ... ...
남극에서 귀한 돌이 운석뿐이랴, 또 다른 돌 화석을 찾아라
2016.02.05
발견됐다. 헬기를 타고 약 100㎞ 날아가자 종자고사리 잎 화석도 나왔다. 이번 탐사에서
연구진
은 식물화석만 300㎏ 이상 발굴했다. 이들 화석은 현재 남극에서 극지연구소로 운반 중이다. 동물화석을 찾던 박 연구원에게도 운이 따랐다. 바람이 강하게 불어 헬기를 이틀밖에 못 띄웠지만 탐사대원 ... ...
[사이언스 브리핑]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분석법 개발 外
2016.02.04
제작했다. 이 발전기로는 5분 만에 축전기(커패시터)에 2V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연구진
은 발전기를 2만5000회 이상 반복적으로 사용해도 발전 성능이 그대로 유지됐다고 밝혔다. ... ...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6.02.04
새로운 패러다임의 선박용 엔진도 만들 수 있을 걸로 기대된다. 사진은 미네소타대
연구진
의 초공동 현상 실험. - 미국 미네소타대 Cavitation and Bubbly Flow 연구그룹 제공 과연 언제쯤, 어디에서 금속 연료를 만나게 될까. 베르그토르손 교수는 “독일에서 최근 발전소용 연료로 리튬을 사용하려는 ... ...
적조 만드는 미세조류로 경유 생산한다
2016.02.03
조기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캠퍼스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사진) 등 공동
연구진
은 적조를 유발하는 독성 미세조류를 활용해 바이오디젤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광합성을 하는 미세조류는 친환경에너지인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英 정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인간 배아 적용 허용
2016.02.02
교정 실험을 승인하면서 이를 둘러싼 찬반 논란이 불거질 전망이다. 지난해 중국
연구진
이 인간 배아를 대상으로 유전자 교정 실험을 처음 진행한 뒤 한차례 윤리적 논란이 일었던 만큼 영국 과학자들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난임 원인 규명 위해 초기 배아 유전자 교정 영국 ... ...
이전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다음
공지사항